1947년 전남 보성 출생인 고인은 1967년 고교 재학 당시 전남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며 문단에 들어섰다. 서라벌예대 문예창작과에 입학한 뒤 베트남전에 참전했고, 1974년 동아일보와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각각 시와 소설이 당선돼 본격적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고인은 탐미적인 문장과 구도적인 서사로 특히 정평이 나 있었다. 마지막 장편인 ‘숨’(2021년)에서는 백혈병으로 딸을 먼저 떠나보낸 화자가 초기 불교 수행법과 명상을 통해 자기혐오와 죄의식, 상실의 고통을 극복하는 과정을 그렸다. 실제로 둘째 딸을 먼저 보내고 명상과 수행에 정진해온 작가의 개인적 경험이 짙게 녹아있다.
군부 독재 시절 민주화 운동에도 깊이 관여했다. 박정희·전두환 정권에 저항한 문인 단체 자유실천문인협의회(작가회의 전신)에 적극 참여했으며, 1974년 윤흥길·황석영·고은 등과 함께 김지하 시인의 석방을 촉구하는 ‘문학인 101인 선언’을 발표했다. 1980년에는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에 휘말려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소설집 ‘다시 월문리에서’(1984), ‘인도로 간 예수’(1995), 장편소설 ‘너에게 가마 나에게 오라’(1994), ‘여자에 관한 명상’(1996), ‘청산’(1997) 등을 썼으며, 시집 ‘마음속 붉은 꽃잎’(1990) 등을 남겼다. 동인문학상, 오영수문학상, 김동리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빈소는 대전 유성구 선병원 장례식장 VIP 3호실, 발인은 3일 오전 8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