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13.9% 증가한 574억9000만 달러를 기록,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간 가운데 1일 부산 남구 신선대 및 감만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들이 가득 쌓여 있다. 뉴시스
7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13.9% 증가한 574억9000만 달러를 기록,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간 가운데 1일 부산 남구 신선대 및 감만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들이 가득 쌓여 있다. 뉴시스


2024년 세계개발보고서 발표
“R&D·교육투자…생산성 높여”


세계은행(WB)이 한국을 ‘중진국 함정’을 극복한 성공사례로 거론하며 “성장 슈퍼스타”이자 “한국 경제 발전사는 개발도상국 정책 입안자의 ‘필독서’”라고 극찬했다.

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세계은행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세계개발보고서’를 발표했다. 세계은행은 1978년부터 특정 주제를 선정해 이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담은 연례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올해 주제는 ‘중진국 함정’(middle-income trap)으로 이는 개도국이 중진국으로 진입한 뒤 고소득국가로 올라서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세계은행은 2022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을 기준으로 하위 중소득국(1136∼4465달러)과 상위 중소득국(4466∼1만3845달러)을 중진국으로 분류했다. 그 이상은 고소득국이다. 세계은행은 중진국 함정을 극복하기 위해 투자(investment), 기술 도입(infusion), 혁신(innovation)의 ‘3i’ 전략을 제시했다. 저소득국 단계에서 투자 촉진으로 성장을 시작하고 중진국 단계 이후에는 해외 기술을 도입해 생산성을 제고해야 하며,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생산성 제고를 위해 낡은 제도와 관습을 창조적으로 파괴하는 혁신이 필요하다는 게 세계은행의 제언이다.

이 전략의 성공사례로 한국을 거론했다. 금융시장을 개방하고 외국 자본을 유치해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연구·개발(R&D)과 교육에 대한 투자를 통해 생산성을 높인 것이 한국의 성공 배경이라는 것이다. 또 1997년 외환위기 등을 계기로 금융·재벌에 대한 포괄적인 개혁에 나섰고 시장 담합과 지배력 집중을 완화해 국내 벤처기업을 육성하는 등 위기를 기회로 전환했다고 평가했다. 세계은행은 “한국의 경제사는 높은 소득 수준을 달성하고자 하는 모든 중소득국가의 정책 입안자들이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필독서”이며 한국을 성장의 슈퍼스타라고 언급했다.

세계은행은 최근 글로벌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지정학적 긴장으로 무역과 투자가 위축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포퓰리즘·공공부채의 증가·기후 변화 등도 중진국 성장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으로 거론했다. 또 중소기업 과보호나 대기업 옥죄기(vilifying)에서 벗어나 생산성이 높은 기업을 육성하고 인적 투자를 강화해 경제·사회적 이동성을 높일 것을 주문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권위 있는 국제기구가 한국의 성장 역사를 극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도국에 성장 전략을 제시한 점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밝혔다.

박정민 기자 bohe00@munhwa.com
박정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