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가철 물놀이를 하면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수영 등을 하면 심한 경우 실명에 이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콘택트렌즈가 수영장물이나 수돗물, 바닷물 등에 접촉하면 세균 또는 곰팡이 등에 감염되기 쉽다.
식약처는 "부득이하게 콘택트렌즈를 하고 물놀이를 할 때는 물안경을 착용해 외부에서 물이 새어 들어오지 않도록 한다"라며 "물놀이 후에는 콘택트렌즈를 새 것으로 교체한다"라고 밝혔다.
눈이 불편하거나 과도한 눈물 분비, 충혈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콘택트렌즈를 즉시 제거하고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게 좋다.
콘택트렌즈는 안과 전문의 진단을 받은 후 구매한다. 렌즈 착용 전 손을 깨끗하게 씻는 것도 중요하다. 하나의 렌즈를 여러 사람이 함께 돌려 쓰면 안 된다. 렌즈는 정해진 시간 만큼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장시간 착용하면 각막에 산소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다.
렌즈 관리용품은 반드기 콘택트렌즈의 세척, 헹굼, 소독, 보존 목적으로만 사용한다. 눈에 직접 사용하거나 코 안을 세척하는 등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면 안 된다.
강북삼성병원 안과 한지상 교수는 "계곡이나 강에는 화학물질은 없지만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안구를 보호하는 결막에 침투해 염증이 발생할 수 있어 안심할 수 없다"면서 "특히 세균, 아칸토아메바 등이 콘택트렌즈에 붙어 치명적인 각막 손상을 일으켜 심하면 실명까지 일으킬 수 있으므로, 수영장이나 바닷가, 계곡 등 물에 들어갈 때는 콘택트렌즈 사용을 절대 하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
김유진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