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의 한 대형 수련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서울 시내의 한 대형 수련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 정부, 9일 전공의 추가모집

하반기 모집 지원자는 91명
이달말 의료개혁 세부계획 발표


레지던트 등 사직 전공의 중 복귀자가 최근 1주일 새 2배 이상으로 늘어났다. 정부는 오는 9일 하반기 전공의 추가 모집을 시작한다. 이달 말까지 병원별 선발 절차를 모두 완료해 9월부터 하반기 수련이 시작될 수 있도록 조치할 방침이다.

정윤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7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9일부터 하반기 전공의 추가 모집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레지던트 1년 차는 14일까지, 인턴·레지던트 2∼4년 차는 16일까지 모집한다. 복지부에 따르면 17일 레지던트 1년 차 필기시험을 진행하는 데 이어 이달 말까지 병원별 선발 절차를 마칠 계획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사직한 레지던트 5701명의 약 11%인 625명은 일반의로서 종합병원 등에 취업해 진료 현장으로 복귀했다. 이는 지난주 258명 대비 2배 이상으로 증가한 수치다. 사직한 레지던트 중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참여한 지원자는 모두 91명이다.

정부는 전공의 복귀를 방해하는 행위도 엄중하게 조치하겠다는 방침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돌아온 전공의 신상을 공개하면서 ‘빈집털이범’ ‘부역자’라는 표현까지 서슴지 않고 있고 신상 털기도 빈번하다”며 “복귀 전공의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세심히 살피고 돕겠다”고 말했다. 주요 의대 교수들은 하반기에 모집된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한 수련을 거부한 상태다.

의료계는 전공의들이 추가 모집에도 거의 응시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의협 산하 A 시도의사회장은 “전공의 7대 요구사항 중 6개를 들어줘도 제일 중요한 의대 증원 백지화를 들어주지 않으면 소용없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2025학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를 제외한 전공의 요구 사항 대부분을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정부는 의료개혁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달 말 의료개혁 4대 과제의 구체적 실행 계획과 향후 5년간 재정 투자 규모를 내놓는다. 한 총리는 “지난 수십 년간 의료계는 지역과 필수 의료 붕괴를 우려하며 정부에 대책 마련을 요구했지만, 과거 정부는 재정 여건 등을 핑계로 제대로 된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미봉책으로 일관했다”며 “의료계가 현 정부의 의료개혁도 신뢰하지 못하겠다고 하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 기인했다고 생각한다”고 짚었다. 이어 그는 “윤석열 정부는 의료개혁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거짓이 아님을 의료계가 확실히 신뢰할 수 있도록 직접 행동으로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진행되는 과제 논의 과정을 매주 브리핑을 통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상급종합병원의 구조 전환과 이용 체계 개선에 대한 공청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유민우 기자 yoome@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