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639억·경북 800억 등
막대한 예산에도 귀촌 시들
고령층 도시 취업 늘어나고
수도권 집값 올라 보류하기도
농촌 체험 행사 증가도 한몫
무안=김대우·안동=박천학·창원=박영수 기자
경북 상주시는 전국 시군 중 귀농 인구 유치 1·2위를 다투는 지역이다. 그런데 최근 2∼3년간 이 지역에 큰 변화가 생겼다. 지난 2021년 282명, 2022년 280명이 귀농했는데, 지난해에는 205명에 그친 것이다. 전남 22개 시군에서 귀농 인구가 가장 많은 고흥군 역시 2021년 224명, 2022년 181명의 귀농인을 맞이했지만 지난해에는 132명으로 확 줄었다.
농촌 소멸위기 극복을 위한 희망으로 여겨졌던 이른바 귀농 현상이 시들해지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마다 귀농어·귀촌 정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 있는데도 농촌이나 어촌에서 ‘제2의 인생’을 살아보겠다는 이들이 눈에 띄게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전남도는 15억 원을 투입해 지난 3월부터 ‘전남에서 살아보기’ 사업을 추진 중이다. 귀농·귀촌 등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에게 2∼6개월간 주거지와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해 농촌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서다. 도는 이를 포함해 올해 귀농 창업·주택지원 등 13개 사업에 639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전국 시도에서 귀농 인구가 가장 많은 경북도는 귀농·귀촌인 유치를 위해 올해 총 800억 원 규모의 주택 구입 및 창업 지원 사업을 펼친다. 경남도는 올해 귀농의집 한 달 살기 등 귀농·귀어 관련 25개 사업에 75억 원을 투입한다.
통계청의 ‘귀농어·귀촌인’ 현황 자료를 보면 전국 귀농 인구는 2021년 1만4461명에서 2022년 1만2660명, 지난해 1만540명으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귀어 인구는 1216명→1023명→750명, 귀촌 인구는 49만 명→42만 명→40만 명으로 줄었다. 귀농어·귀촌 인구가 감소한 것은 60대 이상 연령층의 도시 취업이 늘어난 데다 주소 이전 없이 참여할 수 있는 농촌 체험 프로그램이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또 서울 등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상승해 귀농을 보류하거나, 비수도권 지역에선 아파트 매매가 이뤄지지 않아 귀농을 포기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남도 관계자는 “세수 감소로 정부의 귀농어·귀촌 관련 예산이 줄고 농어촌 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다시 도시로 돌아가는 경우도 상당수”라고 말했다. 나라살림연구소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귀농어 인구마저 줄면 농어촌 소멸 현상이 심화할 것”이라며 “고강도 농작업 부담을 낮추고 농어업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