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일본을 과학연구에서 추월하나?"
과학 기술 경쟁력 지표 중 하나인 피인용 상위 10% 논문 수에서 한국이 일본을 제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10일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문부과학성 산하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는 전날 공개한 ‘2024 과학기술 지표’ 보고서에서 2020∼2022년 피인용 상위 10%에 든 일본 논문은 연평균 3719편으로 세계 13위에 그쳤다고 분석했다. 피인용 상위 10% 논문 수가 가장 많은 나라는 중국(6만4138편)이었고 미국(3만4995편), 영국(8850편), 인도(7192편), 독일(7137편)까지가 5위권 안에 들었다.
일본은 같은 기간 한국(4314편)은 이탈리아(6943편), 호주(5151편), 캐나다(4654편)에 이어 9번째를 차지했다. 한국의 실적은 10년전과 비교하면 놀라운 것으로 평가된다. 10년 전인 2010년에서 2012년 분석 결과를 보면 피인용 상위 10% 논문 수에서 일본은 당시 미국, 중국, 영국, 독일, 프랑스에 이어 6위였고 한국은 훨씬 낮은 12위를 차지했다.
산케이신문은 "일본은 전년과 마찬가지로 13위에서 횡보한 데 비해 한국은 프랑스를 제치고 9위로 올라섰다"며 "한국과의 차이가 확대됐다"고 전했다.
이현욱 기자
과학 기술 경쟁력 지표 중 하나인 피인용 상위 10% 논문 수에서 한국이 일본을 제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10일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문부과학성 산하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는 전날 공개한 ‘2024 과학기술 지표’ 보고서에서 2020∼2022년 피인용 상위 10%에 든 일본 논문은 연평균 3719편으로 세계 13위에 그쳤다고 분석했다. 피인용 상위 10% 논문 수가 가장 많은 나라는 중국(6만4138편)이었고 미국(3만4995편), 영국(8850편), 인도(7192편), 독일(7137편)까지가 5위권 안에 들었다.
일본은 같은 기간 한국(4314편)은 이탈리아(6943편), 호주(5151편), 캐나다(4654편)에 이어 9번째를 차지했다. 한국의 실적은 10년전과 비교하면 놀라운 것으로 평가된다. 10년 전인 2010년에서 2012년 분석 결과를 보면 피인용 상위 10% 논문 수에서 일본은 당시 미국, 중국, 영국, 독일, 프랑스에 이어 6위였고 한국은 훨씬 낮은 12위를 차지했다.
산케이신문은 "일본은 전년과 마찬가지로 13위에서 횡보한 데 비해 한국은 프랑스를 제치고 9위로 올라섰다"며 "한국과의 차이가 확대됐다"고 전했다.
이현욱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