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찰 통해 재발방지 조치한 뒤
해체 수준 조직개편 단행 계획


군 첩보 당국이 국군정보사령부(정보사) 군무원의 기밀정보 유출 사건과 관련해 정보사 직원 전부에 대한 휴대전화 포렌식을 진행한 것으로 30일 전해졌다. 7년 동안이나 ‘블랙 요원’ 신상정보를 포함해 30여 건의 기밀 정보가 유출됐는데도 이를 인지하지 못한 만큼 재발방지 차원에서 이뤄진 조치로 보인다. 군 당국은 대대적 감찰을 통해 조직을 원상복구한 뒤 추후 조직개편을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복수의 군 소식통에 따르면 첩보 당국은 올해 6월 정보사 군무원 A 씨의 기밀유출 사건 적발 직후부터 전 직원 휴대전화, PC 등에 대한 포렌식 작업 등을 최근 완료하는 등 조직 전반의 정보 보안 상황을 점검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고위관계자는 “조직 원상복구 등이 끝나는 대로 해편(解編·해체 후 재편) 이상의 근본적 조직개편 작업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최근 몇 달간 동남아·유럽 등지의 대북 정보 라인을 포함한 휴민트(HUMINT·인간정보) 업무 활동 정지, 출장 업무 보류 등의 조치가 시행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소식통은 “현 상태에서 사령관과 참모장 등의 수뇌부 교체보다는 조직 원상복구 및 재발방지책 마련이 시급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보사 조직 정상화 뒤 해체 수준의 고강도 조직개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군무원 A 씨는 7년 동안 중국 정보요원으로부터 돈을 받고 중대한 기밀을 빼돌렸지만 첩보 당국은 이를 전혀 파악하지 못했다. 정보당국과 군 수뇌부는 현 체제로는 더 이상 해외 대북 임무를 수행하기 힘들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용현 국방부 장관 후보자가 다음 달 2일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취임하면 대통령실과 조율해 관련 추후 조직개편 작업에 본격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정충신 선임기자
정충신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