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사상 최고가 기록 행진을 하던 국제 금값이 매년 반복된 9월 하락 ‘저주’를 끊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블룸버그통신은 31일(현지시간) 국제 금값이 2017년 이후 매년 9월에는 항상 하락 세를 면치 못했다고 보도했다. 9월 평균 하락률은 3.2%로 월별로 가장 큰 폭이었다고 짚었다. 실제 연도별 9월 하락률은 2017년 3.2%, 2018년 0.9%, 2019년 3.2%, 2020년 4.2%, 2021년 3.1%, 2022년 3.0%, 2023년 4.7%였다.
2월(-0.7%)과 6월(-0.8%)에도 금값이 내렸지만 하락률은 훨씬 낮았다. 12월엔 상승률이 3.6%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1월 2.5%, 7월 2.0% 순이었다. 이 기간 전체 월 평균 금값 상승률은 1%였다.
블룸버그는 “9월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도 지난 10년간 평균 1.5% 이상 내리는 등 주식시장도 좋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금융시장 참가자들이 여름휴가를 가기 전 위험을 헤지하기 위해 금을 사두고 갔다가 9월에 돌아온다”고 했다. 이는 여름에 시장 변동폭이 커지는 경우가 자주 있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그러면서 “통상 9월엔 미 달러화가 강세기 때문에 금 값에는 부정적”이라고 전했다. 다른 통화로 살 수 있는 금의 가치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올해 금 값은 20% 넘게 오르며 수 차례 최고가를 새로 썼다. 최근 국제 금 값은 트로이온스(온스)당 2500달러를 넘어서면서 금괴 1개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100만 달러(약 13억3000만 원)를 넘어서기도 했다. 금 값 인상은 중앙은행들의 수요가 뒷받침되고 지정학적 긴장 속에 안전자산으로서 관심이 높은 데다, 실물 골드바 매수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설명했다. 9월 연방준비제도(Fed) 금리 인하 기대도 금 값을 밀어 올렸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현물 금 값은 30일 온스당 2502달러로 0.7% 하락했지만 8월 월간으로는 2.8% 상승했다.
최준영 기자
관련영상: 금값이 ‘금값’이라고? ‘금 투자’ 이렇게 하세요 [금주머니TV]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