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싼 중국산이 대부분 차지
한류 인기에 수출도 증가세


‘김치 종주국’인 우리나라의 올해 김치 수입액이 전년 대비 7%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고물가 속 여름철 배추값이 치솟은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수입하는 김치 대부분이 국산보다 절반가량 저렴한 중국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관세청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올해 1∼7월 국내 김치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6.9% 늘어난 9847만 달러(약 1300억 원)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 기준 김치 수입액이 역대 가장 많았던 2022년(9649만 달러)을 넘어선 수치다. 2022년 한 해 김치 수입액은 1억6940만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바 있어, 올해 이 기록을 넘어설지도 관심을 모은다. 올해 7월까지 김치 수입 중량은 17만3329t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 증가했다. 이번 수입 중량도 2019년 같은 기간(17만2689t)보다 많은 사상 최대 기록이다.

국내 수입 김치의 거의 100%가 중국산으로 파악되고 있다. 수입 김치는 주로 가정보다는 단체급식이나 외식업체에서 사용된다. 중국에서 비위생적으로 배추를 절이는 이른바 ‘알몸 김치’ 파동이 터졌던 2021년 국내 김치 수입액은 1억4074만 달러로, 전년(1억5243만 달러)보다 7.7% 줄었다. 하지만 2022년부터 다시 늘어나 2년 연속 1억6000만 달러를 웃돌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해 12월 김치산업 보고서에서 “저가 중국산 김치를 중심으로 수입이 크게 늘어 국내 김치산업 기반을 위협하는 실정”이라고 짚기도 했다.

김치 수입과 함께 최근 한류 인기 등에 힘입어 수출도 늘고 있다. 올해 1∼7월 김치 수출액은 9685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다. 한국산 김치 주요 시장은 일본과 미국, 유럽, 호주 등이다.

최준영 기자 cjy324@munhwa.com
최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