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8월 15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9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며 ‘8·15 통일 독트린’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8월 15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9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며 ‘8·15 통일 독트린’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퇴임 후 사저 경호시설 신축 예산으로 139억8000만 원이 책정된 것으로 드러났다고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5일 밝혔다.

최 의원은 이날 기획재정부가 제출한 ‘2025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에서 이처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내년도 업무시설 신축 비용으로 11억6900만 원을 편성했는데, 윤 대통령이 퇴임 후 거주할 사저 인근에 경호시설을 신축하기 위한 비용이라고 최 의원은 지적했다.

이 예산은, 윤 대통령이 오는 2027년 5월 9일 퇴임한 뒤 거주할 사저 인근에 경호시설을 신축하기 위한 것으로, △건설보상비(토지매입비) 10억 원 △실시설계비 1억100만 원 △기본조사설계비 6800만 원 등으로 구성됐다.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퇴임한 대통령을 위한 경호시설에는 국고가 지원되는데, 정부는 퇴임 시점을 고려해 통상 대통령 임기 3년 차에 사저 경호시설 관련 예산을 편성한다. 윤 대통령의 구체적인 사저 위치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사업의 중기재정계획상 연도별 투자 계획을 보면, 경호시설을 착공하는 2026년도에 119억8800만 원, 완공 및 입주에 들어가는 2027년도에 8억2300만 원이 편성될 예정이다. 내년도 예산안까지 합치면 총 사업비만 139억8000만 원에 달한다.

이에 대해 최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는 전임 대통령들의 경호 시설 예산과 비교해 두 배에 가까운 금액"이라며 "문재인 전 대통령은 62억 원, 박근혜 전 대통령은 67억 원이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윤 대통령 사저 경호시설에는 이보다 훨씬 많은 예산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라며 "강남 고급 아파트에 거주했던 윤 대통령의 거주 수준을 맞추려다 예산이 폭증한 것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언급했다.

최 의원은 "국민에게는 긴축재정과 예산 절감을 강조하면서 정작 자신을 위한 경호시설에는 막대한 세금을 쓰겠다는 것, 과연 공정하냐"며 "국가에 돈이 없다며 ‘25만 원 민생지원금’도 반대하던 정부가 이렇게 자신을 위해서는 큰 금액을 할애할 수 있는지 정말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꼬집었다.

노기섭 기자
노기섭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