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출 호조… 반도체는 50% ↑
상품수지 16개월째 흑자 행진
최상목 “목표치 초과달성할 듯”
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로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3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7월 국제수지 동향(잠정)’에 따르면 7월 경상수지는 91억3000만 달러(약 12조1900억 원) 흑자로 집계됐다. 지난 2015년 7월(93억7000만 달러) 이후, 7월 기준으로는 가장 큰 흑자 규모다.
경상수지는 지난 4월 외국인 배당 증가 등으로 2억9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한 이후 5월(89억2000만 달러)과 6월(125억6000만 달러) 들어서 흑자 전환했다. 그러나 6월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6년 9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던 지난달에 비해서는 흑자 폭이 34억 달러 넘게 줄었다.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84억9000만 달러)가 지난해 4월 이후 16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흑자 폭은 6월(117억4000만 달러)보다 작았지만, 지난해 7월(44억3000만 달러)보다는 컸다. 수출이 586억3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6.7% 증가하면서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반도체(50.1%)와 정보통신기기(29.8%), 석유제품(16.8%), 기계류 및 정밀기기(14.3%) 등이 수출을 주도했다. 반면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품인 승용차(-8.9%)는 감소세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27.4%)·중국(14.9%)·일본(10.0%)·미국(9.3%) 등으로의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수입도 501억4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9.4% 증가했다. 석유제품(37.9%)과 천연가스(23.5%)·원유(16.1%) 등 원자재 수입이 9.5%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는 여행, 기타사업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23억8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해 전달보다 적자 폭이 확대됐다.
여행수지는 내국인의 해외여행 증가로 12억6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하면서 적자 폭이 6월(-9억 달러)보다 커졌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8월 수출이 역대 최대 실적을 보인 가운데, 7월 경상수지 흑자도 역대 2위(7월 기준)를 기록했다”며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연간 경상수지 흑자는 애초 전망(630억 달러)을 큰 폭으로 초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김지현 ·박수진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