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일 경기도 한 권역의료응급센터를 찾아 응급실 운영 상황 등을 점검하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일 경기도 한 권역의료응급센터를 찾아 응급실 운영 상황 등을 점검하고 있다. 뉴시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의정부성모병원을 찾아 응급실 운영 상황 등을 점검한 것과 관련해 의료계가 일회성 방문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고 비판하며 더 근본적인 해법을 요구했다.

조항주 의정부성모병원 외상외과 교수(대한외상학회 이사장)는 8일 서울 서대문구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대한외과의사회 추계학술대회에서 "VIP(윤 대통령)가 환자 수술과 관련된 여러 시스템을 봐야 하는데 응급실만 돈다고 문제가 해결될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조 교수는 지난 4일 윤 대통령이 방문한 의정부성모병원의 권역외상센터장이다.

조 교수는 "전공의 없이 밤에는 입원 환자를 (교수) 혼자 돌봐야 해 밤에 누군가를 콜하는 것 자체가 다른 사람을 괴롭히는 게 돼 버렸다"며 "이 상태로는 오래 못 갈 것 같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병원에서 열심히 일하는 것 자체가 불이익인 문화가 돼 버렸다"고도 했다.

특히 배후진료가 부족해 환자를 받는 것 자체가 조심스럽다고 했다. 조 교수는 "환자를 분류해서 다른 과를 콜해야 하는데 마취과 전공의가 없어 수술방이 줄어들고 신경외과, 정형외과 등 배후진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환자 게이트키퍼 역할을 맡은 입장에서 환자 받는 것이 두렵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응급의료체계가 위험한 수준에 달했다고도 경고했다. 조 교수는 "지금은 119구급대가 무작위로 여러 곳에 전화해서 환자를 받겠다는 곳으로 무조건 가는 상황이다. 그 환자가 최종 치료를 어떻게 받는지는 상관없다"며 "권역응급의료센터나 권역외상센터가 없던 시절로 돌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추진 중인 전문의 중심병원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견해를 내놨다. 그는 "전문의는 각 분야에 세분되다 보니 전반적인 진료 과정을 모두 챙기기 힘들다"며 "환자 동의서를 받고 담당과에 연결하는 등 중간역할을 할 일반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 역할을 진료지원(PA) 간호사에게 맡기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민정혜 기자
민정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