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 무상교통·중고생 반값 정책이 핵심
광주=김대우 기자
서울 ‘기후동행카드’·경기 ‘The 경기패스’·인천 ‘I-패스’ 이어 광주시도 광주형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을 도입한다. 광주시는 내년 1월부터 ‘광주G-패스’를 본격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광주G-패스는 지난 5월부터 시행 중인 K-패스와 연계해 어린이 무상교통·중고생 반값 등 더 두터운 혜택을 제공하는 맞춤형 교통정책이다. 우선 어린이(6∼12세)는 시내버스·마을버스·도시철도 이용요금이 무료다.
청소년(13∼18세)은 반값, 청년(19∼39세) 30%, 일반성인(40∼64세) 20%, 65세 이상 노인 50%, 저소득층은 64%까지 할인 또는 환급받는다. 광주G-패스는 K-패스 청년연령(19∼34세)을 39세까지 확대하고, 65세 이상 노인과 저소득층에 대해 각각 30%와 11%를 추가 지원하는 등 청년·사회적 약자에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시는 내년 제도 시행을 위해 지난달 보건복지부와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를 마쳤다. 또 광주교통공사와 광주G-패스 시행을 위한 정산업무 위·수탁 협약을 체결하는 등 본격적인 서비스 준비에 들어갔다. 시 관계자는 "광주G-패스 도입을 통해 광주를 승용차 중심 도시에서 대중교통, 자전거, 보행 중심 도시로 대전환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다만 국비가 50% 지원되는 K-패스(시 부담액 35억 원)와는 달리 광주G-패스는 연간 73억 원에 달하는 추가비용을 전액 시비로 충당해야 한다. K-패스와 광주G-패스에 들어가는 대중교통비 지원사업비만 연간 100억 원이 넘는다. 현재 시가 시내버스 회사와 광주도시철도 1호선에 지원하는 재정지원금이 연간 1800억 원에 달하는 실정이어서 시 재정에 부담이 될 전망이다.
한편 광주시 K-패스 가입자는 지난 5월 2만3830명에서 지난달 말 3만6013명으로 51.1%(1만2183명) 늘어나는 등 증가 추세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