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영남권 의료 격차 해소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
지역 완결형 글로벌 허브 메디컬센터로 의료 혁신 예고
부산=이승륜 기자
부산대병원이 수도권과 영남권 간의 의료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필수 사업으로 꼽히는 메디컬센터 건립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다. 이에 향후 결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부산대병원은 지역완결형 글로벌 허브 메디컬센터 신축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다고 11일 밝혔다.
앞서 지난 4월 5일 윤석열 대통령은 부산대병원을 방문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 서비스 접근권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센터 신축 비용 전액을 지역 필수의료 특별회계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지난 7월 12일 국민의힘 부산시당위원장인 박수영 국회의원도 병원에 와 "수도권과 지방의 의료 격차 해소와 공공의료 강화를 위해 반드시 (센터 건립은) 필요하다"며 시당 차원의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총 사업비 7000억 원 규모의 부산대병원의 지역완결형 글로벌 허브 메디컬센터 사업은 현재 병원이 행정·연구동으로 사용하는 융합의학연구동을 혁신적 교육·연구·진료 인프라를 갖춘 시설로 재건축하고, 본관 노후화된 병동과 외래 시설을 최첨단 의료시설로 개편해 부산권의 모든 시민이 생애 전주기에 걸쳐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받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새로 건립될 센터에는 소아 중증 응급진료체계를 갖춘 어린이통합진료센터와 재활의학센터, 통합암케어센터, 지역 의료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융복합연구센터, 의료인 교육 시뮬레이션센터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또 가덕도 신공항 개항에 맞춰 국제진료센터, 노인 전문질환센터도 구축이 예고됐다.
부산대병원은 메디컬센터가 가동돼 정상 운영하면 지역에서 약 1조2000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와 4000억원 이상의 부가가치 창출, 취업 유발 효과 등이 나타날 것으로 본다. 이에 부산대병원은 부산시의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 계획과 서구 ‘글로벌 하이 메디허브’ 특구 지정에 맞춰 지난해 5월부터 메디컬센터 건립 사업추진단을 구성해 기획 설계, 타당성 조사 용역 등을 했다. 정성운 부산대병원장은 "부산대병원은 국립대병원 중 가장 협소한 부지와 노후화한 건물을 갖추고 있다. 이는 지역 의료 발전의 장애 요소 중 하나다"며 "서울과 부산 간 의료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완결형 필수 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해 이번 사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