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은 “보기만 해도 힘이 난다”
평양 인근 강선 단지 시설 추정
원심분리기 ‘캐스케이드’ 노출
美대선 앞두고 추가공개 가능성
통일부 “핵능력 강화 강력 규탄”
북한이 핵탄두를 만드는 데 쓰이는 핵물질인 고농축우라늄(HEU) 제조 시설을 13일 처음으로 공개했다.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모습 뒤로 원심 분리기 캐스케이드(원심분리기를 다단계로 연결한 설비)가 늘어선 모습도 보란 듯이 노출했다. 미국 대선을 50여 일 앞두고 핵 무력을 과시해 향후 대미 협상 과정에서 몸값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우라늄 농축 시설을 처음으로 공개하면서 김 위원장이 핵무기 연구소와 무기급 핵물질 생산시설을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정말 이곳은 보기만 해도 힘이 난다”며 “전술핵무기 제작에 필요한 핵물질 생산에 총력을 집중하고, 이미 완성단계에 이른 신형의 원심분리기 도입사업도 계획대로 내밀어 생산 토대를 한층 강화하라”고 말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북한은 핵 시설 위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우라늄 광산이 있는 평양 인근 강선 단지 시설일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북한은 2010년 핵물리학자인 시그프리드 헤커 미국 박사를 초청해 평안북도 영변 핵시설 내 우라늄 농축시설을 보여준 바 있지만, 농축시설을 대외에 직접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파키스탄은 물론, 핵 개발을 추진하는 이란도 핵 시설을 외부에 공개한 적이 없다는 점에서 북한의 이번 공개는 매우 이례적이다.
북한은 오는 11월 미 대선을 앞두고 차례로 전략·전술무기를 공개할 가능성이 크다. 7차 핵실험을 포함해 핵위기를 의도적으로 고조시킬 수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앞으로 50일간 전략·전술 무기 카드를 상당히 빠르게 꺼내 들 것”이라며 “우라늄 농축시설 공개는 (북한 연쇄 도발의) 가장 중요한 시발점”이라고 했다.
한편 김용현 국방부 장관은 이날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과 전화통화를 하고,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재확인했다고 미 국방부가 밝혔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북한이 우라늄 농축시설을 공개하면서 핵 능력의 가속적 강화, 전술핵무기용 핵물질 생산을 운운한 데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손기은·김규태 기자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