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 오른 시민들이 서울 아파트 단지를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서울 남산에 오른 시민들이 서울 아파트 단지를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전세가율 최고는 충북 청주시 서원구…최저는 서울 용산구
“서울·수도권 주거선호지역은 갭투자 성행 가능성 낮아”



매매가 대비 전세가의 비율을 뜻하는 ‘전세가율’이 지방을 중심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전세가율은 향후 부동산 시장에서 갭투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지표다. 이 비율이 높은 지역은 전세를 안고 집을 마련하는 ‘갭투자’가 성행할 가능성이 크지만, 서울 등 주거선호지역의 전세가율은 지방에 비해 낮게 나타나 갭투자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17일 우대빵부동산에 따르면, 지난 7월 현재 전국 전세가율은 67.5%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광역자치단체는 전북(79.2%)이었으며, 가장 낮은 곳은 세종(47.4%)이었다. 시·군·구 기준으로는 충북 청주시 서원구가 83.6%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남 목포시(83.4%), 전남 광양시(83.3%), 전북 군산시(83.2%) 순으로 높았다.

반면 전세가율이 가장 낮은 곳은 46.5%를 기록한 서울 용산구였다. 이어 서울 강남구(46.7%), 서울 송파구(46.8%), 세종시(47.4%), 경기 과천시(48%) 순으로 전세가율이 낮았다.

전세가율이 높을 경우, 전세 세입자를 들여 적은 자본으로 주택을 매수하는 갭투자 하기에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진다.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매수해도 되지만, 갭투자를 하면 이자비용이 들지 않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에서 갭투자가 많이 이뤄지는 게 보통이다.

하지만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 대부분이 지방 중소형 도시로 집계됐기 때문에, 갭투자로 인해 부동산 시세가 급등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지방 중소도시의 경우 매매보다는 전세 수요가 훨씬 많고, 최근 아파트값 상승이 서울·수도권 주거선호지역을 중심으로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서울·수도권 주거선호지역 소재 아파트는 전세가율이 낮아 갭투자를 하려 해도 상당한 자본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창섭 우대빵부동산 대표는 “갭투자를 막기 위해 이뤄지는 대출 규제를 포함한 부동산 규제는 목표한 성과를 달성하기도 어렵고 오히려 주택시장을 왜곡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노기섭 기자
노기섭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