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우정(사법연수원 26기) 신임 검찰총장이 오는 19일 취임식을 갖고 2년간의 임기를 본격 시작한다. ‘심우정 검찰’에겐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문재인 전 대통령 일가를 겨냥한 타이이스타젯 특혜 취업 의혹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건이 산적해 있다. 야권이 지난 정부에 이어 추진 중인 검찰 개혁에 대응하고, 검찰에 대한 국민 불신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도 있다.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심 총장이 이끄는 검찰이 평가받을 첫 시험대는 김 여사 사건 처분이 될 전망이다. 서울중앙지검이 수사 중인 김 여사의 명품가방 수수 의혹은 수사팀의 무혐의 보고와 검찰 수사심의위원회(수심위)의 불기소 처분 권고까지 이뤄졌다. 하지만 최 목사가 김 여사와 명품가방을 주고받은 만큼 ‘최재영 목사 수심위’에서 직무관련성 등에 다른 판단이 나와 소모적인 논쟁이 생기는 것을 막고자 이 결과를 본 뒤 김 여사 사건도 결론내리기로 하면서 최종 처분이 미뤄졌다. 법조계에서는 만약 최 목사 수심위에서 다른 판단이 나오더라도 이미 법리 검토를 마친 수사팀이 불기소 결론을 바꾸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김 여사가 고발된 지 4년이 넘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처분도 미룰 수 없는 과제다. 그간 검찰은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 등의 2심 결론을 지켜본 뒤 처분을 하겠다는 입장을 취해왔다. 하지만 지난 12일 항소심 법원이 전주(錢主)의 주가조작 방조 혐의에 유죄를 선고한 만큼 전주 중 한 명으로 지목된 김 여사 기소 여부를 검토 중인 검찰로선 고심이 깊어졌다.
두 사건 모두 수사팀이 7월 김 여사를 검찰청사가 아닌 정부 보안청사에서 비공개 조사한 것을 둘러싼 특혜 시비가 일었던 만큼 얼마나 납득할 만한 수사 결과를 내놓느냐에 따라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평가가 갈릴 전망이다.
문 전 대통령 일가를 정조준한 ‘타이이스타젯 특혜 채용 의혹’과 ‘딸 다혜 씨 태국 이주 지원 의혹’ 수사도 녹록지 않다.
전주지검은 문 전 대통령의 전 사위 서모씨가 2018년 7월부터 타이이스타젯 전무로 채용돼 받은 급여와 주거비 등을 합한 2억2천300만원을 문 전 대통령이 받은 뇌물로 보고 수사 중이다. 검찰은 이상직 전 의원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에 앉힌 대가로 항공업계 근무 이력이 없는 서씨를 채용하고 각종 지원을 해준 것은 아닌지 들여다보고 있다. 검찰은 지난달 30일 문 전 대통령의 딸 다혜 씨 주거지를 압수수색한 데 이어 조만간 참고인으로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거대 야당 대표를 향한 수사는 수원지검이 맡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김혜경 여사의 경기도 법인카드 유용 의혹을 수사 중인 수원지검은 이달 5일 김 여사를 조사했고, 이 대표에게는 서면 질의서를 보냈다. 문 전 대통령과 이 대표를 향한 수사를 놓고 야권은 “행패에 가까운 정치 탄압”이라며 ‘정치 보복’을 주장하기도 했다.
심 총장은 검찰 기능을 대폭 약화해 힘을 빼려는 야권의 ‘검찰 개혁’ 시도에 맞서 대응을 이끌 역할도 맡았다.
조국혁신당은 검찰청을 폐지한 뒤 기소와 공소 유지만 전담하는 공소청으로 전환하고, 직접수사권은 중대범죄수사청으로 넘기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당론으로 발의한 상태다. 이는 조직을 뒤흔들었던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2라운드가 될 가능성도 점쳐져 심 총장이 검찰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고 국민 불신을 잠재울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심 총장은 사법연수원 26기로 대검찰청 범죄정보2담당관, 법무부 검찰국 형사기획과장, 검찰과장,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장, 대구지검 서부지청 차장검사, 대검 과학수사기획관, 서울동부지검장, 대검 차장 등을 지냈다. 조율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