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8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내려 4.75∼5.00%로 조정했다. 예상을 뛰어넘는 ‘빅컷’이다. 연준은 성명에서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2.5%로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를 향해 가고 있다”며 자신했지만, 올해 경제성장률은 0.1%포인트 낮춰 2.0%로 전망했다. 또, 8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돌면서 연말 실업률 전망치도 4.4%로 올렸다. 경기 둔화 조짐과 함께 미 연준이 ‘물가와의 전쟁’에서 ‘고용과의 전쟁’으로 방향을 튼 것으로 볼 수 있다.
유럽·영국·캐나다에 이어 미국까지 4년 반 만에 금리를 인하하면서 글로벌 금리 인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다. 이번 빅컷에 미 연준 12명의 이사 중 11명이 찬성했으며, 추가 금리 인하도 강력히 시사했다. 연말까지 0.5%포인트, 내년 말까지 1.6%포인트 더 내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글로벌 금리 인하 추세는 전반적으로 한국 경제에 호재다. 다만, 중국에 이어 미 경제가 예상과 달리 냉각될 수 있는 만큼 수출 위축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
이제 1년7개월째 금리를 동결해온 한국은행의 선택이 주목된다. 8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로 내려왔고 내수 부양도 서둘러야 한다. 문제는 8월 가계대출이 9.8조 원 늘어나고 수도권 집값이 불안하다는 점이다. 섣불리 금리를 내렸다가 가계 빚과 집값 거품이 금융 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다. 이창용 총재가 지난 7월 “차선 바꿀 준비를 하는 상황”이라고 한 만큼 금리 인하는 시간문제다. 그에 앞서 가계부채와 부동산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 방만한 정책대출부터 조이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조기 시행, 담보인정비율(LTV) 강화부터 검토할 필요가 있다. 금리 인하 쓰나미에 대처할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
유럽·영국·캐나다에 이어 미국까지 4년 반 만에 금리를 인하하면서 글로벌 금리 인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다. 이번 빅컷에 미 연준 12명의 이사 중 11명이 찬성했으며, 추가 금리 인하도 강력히 시사했다. 연말까지 0.5%포인트, 내년 말까지 1.6%포인트 더 내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글로벌 금리 인하 추세는 전반적으로 한국 경제에 호재다. 다만, 중국에 이어 미 경제가 예상과 달리 냉각될 수 있는 만큼 수출 위축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
이제 1년7개월째 금리를 동결해온 한국은행의 선택이 주목된다. 8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로 내려왔고 내수 부양도 서둘러야 한다. 문제는 8월 가계대출이 9.8조 원 늘어나고 수도권 집값이 불안하다는 점이다. 섣불리 금리를 내렸다가 가계 빚과 집값 거품이 금융 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다. 이창용 총재가 지난 7월 “차선 바꿀 준비를 하는 상황”이라고 한 만큼 금리 인하는 시간문제다. 그에 앞서 가계부채와 부동산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 방만한 정책대출부터 조이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조기 시행, 담보인정비율(LTV) 강화부터 검토할 필요가 있다. 금리 인하 쓰나미에 대처할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