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의협)와 의대 교수 등 의료계는 의사인력 추계위원회가 2025년도 의대 정원부터 논의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앞서 2025학년도 증원 재논의가 불가능하다면 2026학년도부터는 감원 가능성을 보장해달라는 요구에서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 셈이다.
최안나 의협 대변인은 30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진행된 의료계 연석회의 후 열린 의료현안 브리핑에서 "정부는 2025학년도 입시절차가 시작됐다는 이유만으로 증원 철회가 불가능한 것처럼 호도하지만, 입시가 완전히 종료되기 전까지는 정부 의지만 있으면 가능하다"며 "정부가 의제 제한 없이 논의하자고 하는 만큼 2025년도 의대 정원을 포함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대변인은 "의협과 대한의학회,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정부가 2025년도 의대 정원을 포함해 논의하라고 요구한다"며 "이에 따라 복지부가 오는 18일까지 요구한 의사인력 추계위원회 위원 추천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잘못된 정책을 강행하면 2025학년도 의대 교육 파탄을 피할 수 없다"며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을 포함해 의제 제한 없는 논의가 우선"이라고 덧붙였다.
의협은 또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서울대 의대의 1학기 휴학 승인이 정당하며 적극적으로 지지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의료계 연석회의에서 의협 등 참여단체들은 의대 증원에 대한 의료계 공동 입장을 정리하고 서울대 의대생들의 휴학 승인, 교육부의 관련 감사 등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