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경제관계장관회의 주재
4분기 24조 현장대기사업 가동


수출 실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내수 부진과 중동 리스크 극복을 위해 정부가 부문별 ‘맞춤형 처방’을 발표했다. 정부는 건설 부문에 향후 5년간 민간 투자를 30조 원 확대하고 투자 부문에서는 올 4분기 내 24조 원 규모 현장대기 사업의 가동을 지원하는 등 내수 회복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기획재정부 등 정부 유관 부처는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제1차 투자 활성화 장관회의를 열고 최근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회복이 더딘 내수 경기를 점검,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이에 정부는 이날 ‘투자 활성화 장관회의’를 발족하고 올 4분기 내 24조 원 규모 현장대기 사업의 가동을 지원하고 하반기 10대 제조업의 설비투자 62조 원을 이행하는 등 계획된 투자 실행을 촉진하기로 했다. 특히 경기 부진과 고용 감소가 두드러지고 있는 건설 부문에 대해서는 수주부진을 보완하기 위해 하반기 공공기관 투자를 1조 원 추가해 8조 원 규모로 추진한다. 아울러 ‘향후 5년간 민간투자 30조 원 확대’를 목표로 민간자금 유입을 확대하고 규제를 합리화해 나갈 계획이다.

소비 활력 제고를 위한 부문별 맞춤형 지원과 취약계층 지원도 강화된다. 정부는 소비촉진 프로그램을 비수도권 중심으로 재설계해 지방 소비를 활성화하고, 다자녀 가구 전기차보조금을 오는 11월부터 확대하는 등 내구재 소비도 촉진한다. 최 부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부문별 맞춤형 처방을 통해 내수회복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박준희·전세원 기자

관련기사

박준희
전세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