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국내 벤처투자 시장을 역대 최대 규모인 16조 원까지 대폭 확대한다. 지난해 2000억 원이었던 글로벌 투자유치 규모도 같은 기간 1조 원까지 늘린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일 오전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벤처·스타트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진 벤처투자 시장 도약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11조 원 수준이었던 국내 벤처투자시장 규모를 2027년 16조 원, 2030년 20조 원까지 확대하고, 지난해 2000억 원에 그친 글로벌 투자유치 규모도 같은 기간 1조 원, 2조 원으로 각각 늘린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글로벌 투자 유치 △국내 투자자 확충 △벤처투자 균형성장 도모 △글로벌 수준 투자환경 조성 등의 4대 추진 전략을 마련했다. 우선 해외의 풍부한 유동성을 끌어들이기 위해 글로벌 투자 유치 모펀드인 K-VCC를 싱가포르에 처음 설립한다. K-VCC는 국내 벤처캐피털이 적은 비용으로 글로벌펀드를 설립하고 투자 유치에 나설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2027년까지 싱가포르에 2억 달러(약 2625억 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이후 중동, 미국 델라웨어 등 글로벌 금융 허브에 추가 설립을 검토할 계획이다.
또 글로벌 펀드를 매년 1조 원 추가 조성해 2027년까지 15조 원 규모로 늘리고, 세계적인 벤처캐피털을 국내로 유치하기 위해 2026년 초 문을 여는 ‘K-팁테크타운’ 입주 시 우대하는 등 인센티브를 강화한다.
국내 벤처투자 시장 참여 주체를 늘리는 방안도 추진한다. 은행이 과감하게 벤처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일정 요건을 충족한 벤처펀드에 위험 가중치 특례를 적용하고 금융권의 벤처펀드 참여 확대에 대한 인센티브를 신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