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일본 총리 본격업무 착수

기시다 경제성장 정책 유지할듯


이시바 시게루(石破茂·사진) 일본 총리가 취임 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첫 통화를 하며 총리로서의 본격적인 업무에 착수했다.

이시바 총리는 취임 다음 날인 2일 오전 바이든 대통령과 통화를 갖고 “미·일 동맹 강화와 한·미·일과 쿼드(미국·인도·일본·호주 4자 안보 협의체) 등 다자간 협력을 강화하고 싶다는 의지를 전달했다”고 이날 취재진에게 설명했다. 이시바 총리는 또 바이든 대통령에게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측이 협력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다만 선거 기간 여러 차례 강조해온 미·일지위협정 개정에 대해서는 이번 통화에서 언급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시바 총리가 외국 정상과 통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시바 총리는 전날 취임 후 처음으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도 “미국과 양국 관계는 중요하고 한국과도 그러하다”고 말해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전 총리의 한·미·일 3국 관계 강화 정책 승계 뜻을 밝혔다. 이시바 총리는 경제정책에 있어서도 “기시다 정권이 추진해 온 경제정책을 이어갈 것”이라면서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하락) 탈피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무파벌이자 한·일 관계 개선에 중점을 둬 온 이시바 총리는 이번 총재 선거에서 기시다 전 총리 측의 지원을 받았으며, 강경 보수인 고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 측 인사들과는 거리를 뒀다. 이시바 총리는 신임 총무상에 “아베는 나라의 적”이라고 비판한 무라카미 세이이치로(村上誠一郞) 전 행정개혁상을 임명하는 등 각료 20명 중 12명을 무파벌 인사로 구성하는 대신 아베파 출신 의원들은 모두 배제했다.

이시바 총리는 또 기자간담회에서 자신이 밝힌 오는 27일 조기 총선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새 정권은 가능한 한 일찍 국민 심판을 받는 게 중요하다”며 “불신임안이 통과된 것은 아니지만 새 내각에 대한 국민의 신임을 묻는 것은 헌법의 취지에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야당은 조기 총선 시 일정상 예산 등 국정 현안 논의가 어렵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종혜 기자 ljh3@munhwa.com
이종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