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오는 10월 16일 재·보궐선거가 끝난 뒤 만나기로 했다고 한다. 윤 대통령이 한 대표의 거듭된 독대(獨對)요청을 외면해왔지만, 지난 4일 김건희 여사 특검법에 대한 국회 재표결 때 여당에서 4표나 이탈했고, 명태균·김대남 파문이 악화하면서 성사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과 여당 대표의 만남 자체가 뉴스거리가 되는 것부터 비정상이지만, 김 여사 논란에 대한 인식 차이는 이젠 온 국민이 알 정도로 심각하다.

한 대표는 9일 “(김 여사 공개 활동 자제 요구에 대해) 저도 그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명품가방·도이치모터스 등 기존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는 가운데, 명 씨는 연일 폭로성 발언을 쏟아낸다. 지난 4·10 총선 당시 김영선 전 의원의 공천 문제를 김 여사와 상의한 텔레그램 문자를 이미 공개한 바 있다. 게다가 대통령실의 애매한 해명은 논란을 더 키운다. 윤 대통령이 명 씨를 두 차례밖에 만나지 않았고, 대선 이후 접촉하지 않았다고 했지만, 윤 대통령의 국민의힘 입당 전 이준석 당시 대표와 만날 때 김 여사와 명 씨가 배석한 사실이 드러났다. 명 씨 전화로 김 여사가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에게 “남편에게 전화 드리라고 할 테니 만나 달라”고 요청했으며, 직후에 윤 대통령 전화가 걸려 왔다는 김 전 위원장 인터뷰도 보도됐다.

야당은 김 여사 활동에 대해 불법적인 선거·국정 개입이라고 공격하지만, 불법으로 볼 만한 증거는 없다. 그러나 많은 국민은 부적절한 인사들과의 부적절한 교류라고 생각하면서, 드러난 것은 빙산의 일각일 것이라고 짐작한다. 이런 의구심을 잠재울 결단이 시급하다. 선거일과 무관하게 단순한 사과를 넘어서는 단호한 해법을 내놔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두 사람이 만나든 말든 헛일일 것이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