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이치모터스 의혹’ 공개언급
김여사 리스크 민심악화 차단
尹독대 앞서 주도권잡기 의도
대통령실 공식 반응 자제하며
“검찰, 법리따라 기소여부 결정”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관련 “국민이 납득할 만한 결과를 내놔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을 두고, 친한(친한동훈)계에서는 검찰이 아닌 대통령실을 향한 발언이라는 해석이다. 10·16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발언 수위를 높여 김 여사 리스크로 민심이 악화하는 것을 차단하고 대통령과 독대를 할 때 주도권을 가져가기 위해 승부수를 띄운 것이라는 분석이다. 대통령실과 친윤(친윤석열)계는 한 대표의 발언에 대해 견제구를 날리면서도 전면적인 갈등은 피하는 분위기다.
친한계 핵심 관계자는 11일 통화에서 “김 여사 이슈에 있어 검찰이 불기소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점보다 기소했을 때 향후 야당의 김건희 특검법 등에 대응할 명분이 더 큰 상황”이라며 “전날 한 대표가 ‘국민이 납득할 만한 결과를 내놔야 한다’고 밝힌 것은, 이 같은 상황 인식에 대한 대통령실에 전하는 메시지 성격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전날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관련 “국민이 납득할 만한 결과를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 대표 발언은 사실상 ‘기소하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어 친윤계를 중심으로 비판 목소리도 나온다. 친윤계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여당 대표가 한참 검찰이 진행 중인 수사에 결론을 거론하는 것 자체가 대단히 부적절”이라며 “정치 검사였던 이성윤 전 서울중앙지검장도 기소하지 못한 사건에 대해 왜 그런 발언을 한 건지 한 대표 본인이 근거를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강승규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SBS 라디오에서 “어떻게 법무부 장관을 지낸 여당 대표가 ‘국민감정에 따라서 여론재판을 하라’고 하나”라며 “검찰이 국민 여론에 따라 수사를 제대로 안 한다는 건지, 한동훈 대표가 법무부 장관 했을 때 그랬다는 건지, 그 말뜻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다만 친한계와 친윤계 모두 재·보선 사전투표가 시작되는 등 선거전이 막바지에 이른 상황에서 김 여사 이슈로 당내 갈등이 극단으로 치닫는 것은 경계하는 분위기다. 대통령실도 당정 갈등이 재차 부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일단 공식 반응을 자제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 대표 발언에 대한 대통령실의 공식 입장은 없다”고 했다. 한 대표 발언에 대한 불편한 기류도 동시에 읽힌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검찰은 정치인의 희망 사항이 아닌, 법리·증거에 따라 기소 여부를 결정하는 게 상식 아니냐”고 했다.
윤정선·손기은·김보름 기자
김여사 리스크 민심악화 차단
尹독대 앞서 주도권잡기 의도
대통령실 공식 반응 자제하며
“검찰, 법리따라 기소여부 결정”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관련 “국민이 납득할 만한 결과를 내놔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을 두고, 친한(친한동훈)계에서는 검찰이 아닌 대통령실을 향한 발언이라는 해석이다. 10·16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발언 수위를 높여 김 여사 리스크로 민심이 악화하는 것을 차단하고 대통령과 독대를 할 때 주도권을 가져가기 위해 승부수를 띄운 것이라는 분석이다. 대통령실과 친윤(친윤석열)계는 한 대표의 발언에 대해 견제구를 날리면서도 전면적인 갈등은 피하는 분위기다.
친한계 핵심 관계자는 11일 통화에서 “김 여사 이슈에 있어 검찰이 불기소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점보다 기소했을 때 향후 야당의 김건희 특검법 등에 대응할 명분이 더 큰 상황”이라며 “전날 한 대표가 ‘국민이 납득할 만한 결과를 내놔야 한다’고 밝힌 것은, 이 같은 상황 인식에 대한 대통령실에 전하는 메시지 성격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전날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관련 “국민이 납득할 만한 결과를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 대표 발언은 사실상 ‘기소하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어 친윤계를 중심으로 비판 목소리도 나온다. 친윤계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여당 대표가 한참 검찰이 진행 중인 수사에 결론을 거론하는 것 자체가 대단히 부적절”이라며 “정치 검사였던 이성윤 전 서울중앙지검장도 기소하지 못한 사건에 대해 왜 그런 발언을 한 건지 한 대표 본인이 근거를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강승규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SBS 라디오에서 “어떻게 법무부 장관을 지낸 여당 대표가 ‘국민감정에 따라서 여론재판을 하라’고 하나”라며 “검찰이 국민 여론에 따라 수사를 제대로 안 한다는 건지, 한동훈 대표가 법무부 장관 했을 때 그랬다는 건지, 그 말뜻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다만 친한계와 친윤계 모두 재·보선 사전투표가 시작되는 등 선거전이 막바지에 이른 상황에서 김 여사 이슈로 당내 갈등이 극단으로 치닫는 것은 경계하는 분위기다. 대통령실도 당정 갈등이 재차 부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일단 공식 반응을 자제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 대표 발언에 대한 대통령실의 공식 입장은 없다”고 했다. 한 대표 발언에 대한 불편한 기류도 동시에 읽힌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검찰은 정치인의 희망 사항이 아닌, 법리·증거에 따라 기소 여부를 결정하는 게 상식 아니냐”고 했다.
윤정선·손기은·김보름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