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100만원 이상 11% 불과
“적정소득 보장, 질도 개선해야”


‘노인 빈곤 해결’ 핵심 사업으로 꼽히는 ‘노인 일자리 사회활동 및 지원사업’(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자 10명 중 7명은 월평균 40만 원도 못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65%는 ‘용돈’ 수준인 29만 원을 받고 있어 ‘괜찮은 일자리’를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5일 장종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으로부터 받은 ‘노인 일자리 사업 평균 임금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8월 기준) 사업 참여자 96만1978명 중 71만56명(73.9%)이 월평균 40만 원 미만의 임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일자리 사업의 가장 많은 부분(65.4%)을 차지하는 ‘공공형’의 경우 월평균 임금이 29만 원에 불과했다. 이마저도 올해 7년 만에 2만 원 인상된 금액이다. 공공형은 기초연금수급자를 대상으로 하며, 스쿨존 교통지원·도서관 봉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사업체가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고 노인을 채용하는 방식의 ‘민간형’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민간형 중 ‘시장형 사업단’ 참여자들(지하철 실버택배, 실버카페 근로자 등)은 하루 8시간 정도 근무하지만 월평균 37만9000원을 받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을 보장하는 ‘괜찮은 일자리’는 소수에 불과했다. 민간형 중 취업알선형, 시니어 인턴십, 고령자친화기업 등 3가지 유형은 월평균 170만∼261만 원을 받고 있었지만,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11.1%(10만6960개)에 그쳤다. 정부는 이들 일자리를 올해 16만7000개로 확대할 계획이었지만 지난 6월 기준 실적은 목표치의 65% 수준에 그쳤다. 반면 월 100만 원 미만의 저임금 일자리는 이미 목표치를 넘어 1630개 초과 달성한 상태다.

장 의원은 “한국에 노인빈곤율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노인 일자리 사업의 목표가 노후 소득 증대인 만큼, 적정소득을 보장하고 일자리의 질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지운 기자 erased@munhwa.com
노지운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