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3국의 국가안보실장들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회동을 갖고 북한의 러시아 파병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했다. 신원식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별도의 특파원간담회에서 “러·북 군사협력의 진전 추이에 따라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와 대응 방안을 포함해 밀도 있는 논의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에 따르면 이날 워싱턴DC에서 신 실장, 미국의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 일본의 아키바 다케오 국가안전보장국장이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 후 공동 보도자료에서 3국 안보실장은 “북한의 병력 배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의 직접적인 위반에 해당하는 무기와 탄도미사일 이전을 포함한 북러 간 군사협력 심화를 보여주는 우려스러운 일련의 징후 중 최신 사례”라며 “러시아와 북한이 러시아의 잔혹하고 불법적인 전쟁의 안보 함의를 유럽을 넘어 인도태평양으로 확산시키기만 하는 이런 행동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설리번 보좌관과 신 실장은 이날 별도 양자 회담에서 북한의 파병과 탄도미사일 제공을 포함한 대(對)러시아 지원을 “가장 강력한 언어로 규탄했다”고 백악관과 대통령실은 밝혔다.
신 실장은 이날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한국 특파원단과 간담회에서 설리번 보좌관과 “최근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을 반영한 헌법 개정 암시, 남북 연결 도로 및 철도 폭파, 계속적인 오물풍선 살포 등과 같은 무분별한 회색지대 도발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철통같은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면서 접경지대를 포함한 북한의 어떤 도발에 대해서도 단호히 대응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워싱턴=민병기 특파원
대통령실과 백악관에 따르면 이날 워싱턴DC에서 신 실장, 미국의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 일본의 아키바 다케오 국가안전보장국장이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 후 공동 보도자료에서 3국 안보실장은 “북한의 병력 배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의 직접적인 위반에 해당하는 무기와 탄도미사일 이전을 포함한 북러 간 군사협력 심화를 보여주는 우려스러운 일련의 징후 중 최신 사례”라며 “러시아와 북한이 러시아의 잔혹하고 불법적인 전쟁의 안보 함의를 유럽을 넘어 인도태평양으로 확산시키기만 하는 이런 행동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설리번 보좌관과 신 실장은 이날 별도 양자 회담에서 북한의 파병과 탄도미사일 제공을 포함한 대(對)러시아 지원을 “가장 강력한 언어로 규탄했다”고 백악관과 대통령실은 밝혔다.
신 실장은 이날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한국 특파원단과 간담회에서 설리번 보좌관과 “최근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을 반영한 헌법 개정 암시, 남북 연결 도로 및 철도 폭파, 계속적인 오물풍선 살포 등과 같은 무분별한 회색지대 도발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철통같은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면서 접경지대를 포함한 북한의 어떤 도발에 대해서도 단호히 대응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워싱턴=민병기 특파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