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硏 ‘AI 시대 대응’ 보고서
스타트업까지 골고루 배치돼야
美 테슬라 같은 혁신기업 탄생
국내 산업계에서도 미국의 애플이나 마이크로소프트(MS)·엔비디아·테슬라 등과 같은 세계 굴지의 혁신기업이 등장하기 위해서는 결국 인공지능(AI) 주도로 개편될 향후 산업계에서 AI 기술을 제조업 기술에 융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SW) 관련 인재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 같은 융합 기술을 활용해 신기술·신제품을 개발할 스타트업으로 인재가 유입될 수 있는 유도책도 필요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8일 산업연구원의 ‘AI 기술 특이점 도래에 대응하는 제조업 SW 핵심 인재 확보전략의 필요성’ 보고서에 따르면 AI가 각 산업 분야에 도입되고 활용도가 높아질 경우 이에 따른 편익이 큰 첨단제조업에서는 SW 핵심 인재 확보가 AI 제조혁신 성패를 가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앞서 산업혁명 이후에는 기계가 인간의 신체적 능력을 능가하고, 정보화시대 이후로는 컴퓨터가 대량연산을 정확하게 반복 수행하면서 인간을 넘어섰다. 최근 생성형 AI 시기에는 SW가 창의적이고도 직관적인 방식으로 인간이 만들어 낸 것보다 준수한 작업 결과물을 대량생산한다는 점에서 세 번째 기술 발달의 특이점 혹은 분기점이 도래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른바 ‘제3의 기술 특이점’에 도달한 것이다.
따라서 제조업 분야에서는 AI의 ‘제3의 기술 특이점’마저 활용할 수 있는 인재가 요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연구원은 “첨단 제조업에서 인간이 수행하던 고등인지 업무를 대신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AI 개발자와 적용대상 산업의 전문가가 협업해야 한다”며 “목표 수립 및 결과물 성취도 평가,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적용의 단계에서 산업 전문가와 AI 개발자, 데이터 과학자 간 긴밀한 협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새로운 산업 분야에서의 신산업, 혁신기업 발굴을 위해서는 AI 관련 SW 인재가 특정 기업이나 분야에 몰리지 않게 각 스타트업 같은 중소기업에도 고루 분포할 수 있도록 정부의 역할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산업연구원은 “정부의 개입이 없다면 우수한 AI 개발자는 급여가 높고 우수한 동료가 많으며 자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풍부한 기업으로 쏠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박준희 기자 vinkey@munhwa.com
스타트업까지 골고루 배치돼야
美 테슬라 같은 혁신기업 탄생
국내 산업계에서도 미국의 애플이나 마이크로소프트(MS)·엔비디아·테슬라 등과 같은 세계 굴지의 혁신기업이 등장하기 위해서는 결국 인공지능(AI) 주도로 개편될 향후 산업계에서 AI 기술을 제조업 기술에 융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SW) 관련 인재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 같은 융합 기술을 활용해 신기술·신제품을 개발할 스타트업으로 인재가 유입될 수 있는 유도책도 필요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8일 산업연구원의 ‘AI 기술 특이점 도래에 대응하는 제조업 SW 핵심 인재 확보전략의 필요성’ 보고서에 따르면 AI가 각 산업 분야에 도입되고 활용도가 높아질 경우 이에 따른 편익이 큰 첨단제조업에서는 SW 핵심 인재 확보가 AI 제조혁신 성패를 가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앞서 산업혁명 이후에는 기계가 인간의 신체적 능력을 능가하고, 정보화시대 이후로는 컴퓨터가 대량연산을 정확하게 반복 수행하면서 인간을 넘어섰다. 최근 생성형 AI 시기에는 SW가 창의적이고도 직관적인 방식으로 인간이 만들어 낸 것보다 준수한 작업 결과물을 대량생산한다는 점에서 세 번째 기술 발달의 특이점 혹은 분기점이 도래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른바 ‘제3의 기술 특이점’에 도달한 것이다.
따라서 제조업 분야에서는 AI의 ‘제3의 기술 특이점’마저 활용할 수 있는 인재가 요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연구원은 “첨단 제조업에서 인간이 수행하던 고등인지 업무를 대신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AI 개발자와 적용대상 산업의 전문가가 협업해야 한다”며 “목표 수립 및 결과물 성취도 평가,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적용의 단계에서 산업 전문가와 AI 개발자, 데이터 과학자 간 긴밀한 협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새로운 산업 분야에서의 신산업, 혁신기업 발굴을 위해서는 AI 관련 SW 인재가 특정 기업이나 분야에 몰리지 않게 각 스타트업 같은 중소기업에도 고루 분포할 수 있도록 정부의 역할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산업연구원은 “정부의 개입이 없다면 우수한 AI 개발자는 급여가 높고 우수한 동료가 많으며 자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풍부한 기업으로 쏠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박준희 기자 vinkey@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