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간 33주년 특집 - 여론조사
연령 낮을수록 부정 평가 높아
70대 23%·20대는 41% 응답
윤석열 정부의 연금개혁안 핵심 내용 중 하나인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높이는 모수개혁안에 대해 찬성 여론과 반대 여론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련 입법에 키를 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도 찬반이 크게 갈리지 않았다.
31일 ‘문화일보 창간 33주년 여론조사’에서 ‘내는 돈인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4%포인트 높이는 대신, 받는 돈인 명목소득대체율을 40%(2028년 기준)에서 42%로 2%포인트 올리는 정부 국민연금 개혁안’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응답자 46%는 긍정 평가했다. 부정 응답자는 42%, 잘 모르겠다는 12%다.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가 오차범위(±3.1%포인트) 내다. 내야 할 보험료는 상대적으로 많이 오르고, 받는 돈은 비교적 조금 오르지만 나쁘지 않다고 본 것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18∼29세를 제외하고 연령이 낮아질수록 긍정 평가보다는 부정 평가가 높았다. 30대 응답자 61%가 정부의 연금개혁안을 부정 평가한 반면, 70대 이상에선 23%만 부정 평가했다. 긍정 평가는 70대가 60%, 30대가 31%다. 18∼29세는 긍정 45%, 부정 41%로 전체 평균과 비슷했다.
연금개혁의 사실상 키를 쥔 민주당 지지층 의견이 부정적 평가로 기울지 않은 점은 향후 입법 추진 과정에서 정부 및 여당에 우호적인 부분이다. 민주당 지지자라고 밝힌 응답자의 긍정과 부정은 각각 44%, 45%로 팽팽했다. 진보층도 긍정 48%, 부정 44%다.
연금개혁을 완성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엔 ‘자동안정장치 도입을 통한 연금개혁 지속성 확보’와 ‘사회적 대타협’이 각각 28%로 조사됐다. 이어 ‘정부의 추진력’(19%), ‘정치권의 의지’(15%) 순이다.
연금개혁 지속성 확보를 우선순위로 꼽은 응답자는 40대(38%), 화이트칼라(38%), 진보층(37%)에서 많았다. 사회적 대타협을 우선순위로 꼽은 응답자는 50대(34%)에서 가장 많이 나왔다.
윤정선 기자 wowjota@munhwa.com
■ 어떻게 조사했나
이번 문화일보 창간 33주년 여론조사는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27∼28일 이뤄졌다.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 조사로 진행했다. 조사 대상은 성·연령·지역별 할당 후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 내에서 무작위로 추출했다. 표본의 크기는 1007명이고, 응답률은 10.0%다. 2024년 9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연령 낮을수록 부정 평가 높아
70대 23%·20대는 41% 응답
윤석열 정부의 연금개혁안 핵심 내용 중 하나인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높이는 모수개혁안에 대해 찬성 여론과 반대 여론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련 입법에 키를 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도 찬반이 크게 갈리지 않았다.
31일 ‘문화일보 창간 33주년 여론조사’에서 ‘내는 돈인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4%포인트 높이는 대신, 받는 돈인 명목소득대체율을 40%(2028년 기준)에서 42%로 2%포인트 올리는 정부 국민연금 개혁안’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응답자 46%는 긍정 평가했다. 부정 응답자는 42%, 잘 모르겠다는 12%다.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가 오차범위(±3.1%포인트) 내다. 내야 할 보험료는 상대적으로 많이 오르고, 받는 돈은 비교적 조금 오르지만 나쁘지 않다고 본 것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18∼29세를 제외하고 연령이 낮아질수록 긍정 평가보다는 부정 평가가 높았다. 30대 응답자 61%가 정부의 연금개혁안을 부정 평가한 반면, 70대 이상에선 23%만 부정 평가했다. 긍정 평가는 70대가 60%, 30대가 31%다. 18∼29세는 긍정 45%, 부정 41%로 전체 평균과 비슷했다.
연금개혁의 사실상 키를 쥔 민주당 지지층 의견이 부정적 평가로 기울지 않은 점은 향후 입법 추진 과정에서 정부 및 여당에 우호적인 부분이다. 민주당 지지자라고 밝힌 응답자의 긍정과 부정은 각각 44%, 45%로 팽팽했다. 진보층도 긍정 48%, 부정 44%다.
연금개혁을 완성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엔 ‘자동안정장치 도입을 통한 연금개혁 지속성 확보’와 ‘사회적 대타협’이 각각 28%로 조사됐다. 이어 ‘정부의 추진력’(19%), ‘정치권의 의지’(15%) 순이다.
연금개혁 지속성 확보를 우선순위로 꼽은 응답자는 40대(38%), 화이트칼라(38%), 진보층(37%)에서 많았다. 사회적 대타협을 우선순위로 꼽은 응답자는 50대(34%)에서 가장 많이 나왔다.
윤정선 기자 wowjota@munhwa.com
■ 어떻게 조사했나
이번 문화일보 창간 33주년 여론조사는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27∼28일 이뤄졌다.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 조사로 진행했다. 조사 대상은 성·연령·지역별 할당 후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 내에서 무작위로 추출했다. 표본의 크기는 1007명이고, 응답률은 10.0%다. 2024년 9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관련기사
-
“준비없는 추진이 개혁 걸림돌” 50%[창간 33주년 특집]
-
“의료파행 장기화, 정부·여당 책임” 49%… “의사 탓” 35%[창간 33주년 특집]
-
“저출생 극복 1순위 정책은 주거부담 완화”[창간 33주년 특집]
-
“4+1 개혁 필요하다” 찬성 압도적… 성과는 사실상 낙제점[창간 33주년 특집]
-
4대 개혁 성공위해…“정치권 협조” 29%, “당사자 양보” 23%[창간 33주년 특집]
-
4대 개혁 걸림돌은… 진보 65% “준비 부족”, 보수 47% “野 비협조”[창간 33주년 특집]
-
의대 신입생 ‘저소득가구 출신’ 1.4% 불과… 로스쿨은 5.4%[창간 33주년 특집]
-
비급여 많은 ‘피정성 쏠림’… 필수의료는 태부족·고령화[창간 33주년 특집]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
관련기사
57[속보]이 대통령 ‘잘할 것’ 65%·‘잘못할 것’ 24%…민주 45%·국힘 23%-NBS
[속보]이재명 시계 만든다…李 “제작 지시, 기대해주셔도 좋다”
-
관련기사
27尹 오늘 2차 소환 불응…경찰 “일과 끝날 때까지 기다릴 것”
‘비화폰 삭제 의혹’ 尹 전 대통령, 경찰 소환조사 불응 방침
-
관련기사
104‘안미경중’ 경고 이어… 미, 이재명 대통령에 ‘中 거리두기’ 요구
투표율 79.4%, 1997년 이후 최고치… 광주 83.9%로 1위·제주 74.6% 최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