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간 33주년 특집 - 여론조사
‘거야가 도와줘야 개혁 완수’ 인식
“국민 수용” “대통령 리더십” 뒤이어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인 ‘4+1 개혁’ 성공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 가장 많은 응답자가 ‘정치권의 협조’를 지목했다. 압도적 의석을 점유한 거대 야당이 협조해야 개혁 과제가 완수될 수 있다는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31일 ‘문화일보 창간 33주년 여론조사’에서 ‘4+1 개혁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필요 요소’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29%는 ‘정치권의 협조’를 꼽았다. ‘개혁 당사자의 양보 및 협조’는 23%였고, 뒤이어 ‘국민의 적극적인 개혁 수용 의지’(18%)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17%) 등의 순이었다.
정치권의 협조가 개혁 성공을 위한 최우선 요소로 꼽힌 것은 보수층에서 해당 항목을 선택한 응답자가 특히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보수층에서 ‘정치권의 협조’를 지목한 응답자는 39%로, 같은 항목을 선택한 중도(26%)·진보(26%) 응답자보다 13%포인트나 높았다. 보수층 상당수가 거대 야당의 ‘발목 잡기’로 인해 윤석열 정부의 개혁 과제가 동력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반면 ‘개혁 당사자의 양보 및 협조’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보수층에서는 14%에 불과했지만, 중도·진보층에서는 각각 27%에 달했다.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을 택한 응답률 역시 보수층과 진보층이 각각 21%와 12%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경향은 지지 정당별 조사 결과에서도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중에서 ‘정치권의 협조’를 선택한 응답자는 16%에 그쳤으나, ‘개혁 당사자의 양보 및 협조’를 지목한 응답자는 32%에 달했다.
이에 반해 국민의힘 지지자는 절반에 육박하는 48%가 ‘정치권의 협조’를 꼽았다. 12%만이 ‘개혁 당사자의 양보 및 협조’를 선택했다.
나윤석 기자 nagija@munhwa.com
■ 어떻게 조사했나
이번 문화일보 창간 33주년 여론조사는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27∼28일 이뤄졌다.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 조사로 진행했다. 조사 대상은 성·연령·지역별 할당 후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 내에서 무작위로 추출했다. 표본의 크기는 1007명이고, 응답률은 10.0%다. 2024년 9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거야가 도와줘야 개혁 완수’ 인식
“국민 수용” “대통령 리더십” 뒤이어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인 ‘4+1 개혁’ 성공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 가장 많은 응답자가 ‘정치권의 협조’를 지목했다. 압도적 의석을 점유한 거대 야당이 협조해야 개혁 과제가 완수될 수 있다는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31일 ‘문화일보 창간 33주년 여론조사’에서 ‘4+1 개혁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필요 요소’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29%는 ‘정치권의 협조’를 꼽았다. ‘개혁 당사자의 양보 및 협조’는 23%였고, 뒤이어 ‘국민의 적극적인 개혁 수용 의지’(18%)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17%) 등의 순이었다.
정치권의 협조가 개혁 성공을 위한 최우선 요소로 꼽힌 것은 보수층에서 해당 항목을 선택한 응답자가 특히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보수층에서 ‘정치권의 협조’를 지목한 응답자는 39%로, 같은 항목을 선택한 중도(26%)·진보(26%) 응답자보다 13%포인트나 높았다. 보수층 상당수가 거대 야당의 ‘발목 잡기’로 인해 윤석열 정부의 개혁 과제가 동력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반면 ‘개혁 당사자의 양보 및 협조’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보수층에서는 14%에 불과했지만, 중도·진보층에서는 각각 27%에 달했다.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을 택한 응답률 역시 보수층과 진보층이 각각 21%와 12%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경향은 지지 정당별 조사 결과에서도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중에서 ‘정치권의 협조’를 선택한 응답자는 16%에 그쳤으나, ‘개혁 당사자의 양보 및 협조’를 지목한 응답자는 32%에 달했다.
이에 반해 국민의힘 지지자는 절반에 육박하는 48%가 ‘정치권의 협조’를 꼽았다. 12%만이 ‘개혁 당사자의 양보 및 협조’를 선택했다.
나윤석 기자 nagija@munhwa.com
■ 어떻게 조사했나
이번 문화일보 창간 33주년 여론조사는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27∼28일 이뤄졌다.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 조사로 진행했다. 조사 대상은 성·연령·지역별 할당 후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 내에서 무작위로 추출했다. 표본의 크기는 1007명이고, 응답률은 10.0%다. 2024년 9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관련기사
-
“준비없는 추진이 개혁 걸림돌” 50%[창간 33주년 특집]
-
“의료파행 장기화, 정부·여당 책임” 49%… “의사 탓” 35%[창간 33주년 특집]
-
“저출생 극복 1순위 정책은 주거부담 완화”[창간 33주년 특집]
-
“4+1 개혁 필요하다” 찬성 압도적… 성과는 사실상 낙제점[창간 33주년 특집]
-
4대 개혁 걸림돌은… 진보 65% “준비 부족”, 보수 47% “野 비협조”[창간 33주년 특집]
-
“尹정부 연금개혁안 긍정적” 46% - “부정적” 42%[창간 33주년 특집]
-
의대 신입생 ‘저소득가구 출신’ 1.4% 불과… 로스쿨은 5.4%[창간 33주년 특집]
-
비급여 많은 ‘피정성 쏠림’… 필수의료는 태부족·고령화[창간 33주년 특집]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