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경북 울진에서 열린 신한울 원전 1·2호기 종합 준공식과 3·4호기 착공식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대못을 뽑는 결정판이다. 신한울 1·2호기는 ‘탈(脫)탈원전’을 표방한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첫 번째 준공이고, 3·4호기는 첫 번째 착공이다. 특히 3·4호기는 탈원전 탓에 2017년 10월 백지화되는 등 7년간 우여곡절을 겪었다.
윤 대통령은 축사에서 “원전 르네상스를 맞이해 1000조 원 규모의 글로벌 시장이 열리고 있다”면서 원전 수출을 전폭 지원하고, 국내 원전 생태계를 완전히 정상화하겠다고 선언했다. 첫 설계수명이 지난 원전도 폐기하지 않고 안전이 입증되면 계속 가동토록 하겠다고 했다. 고사 위기에 몰렸던 원전 업계는 윤 정부 들어 8조7000억 원의 일감 확보를 토대로 가까스로 기사회생했다. 최근 체코 원전 수주에서 보듯 세계가 K-원전의 경쟁력을 인정한다.
탈원전은 국가적 재앙이었다. 원전 건설 지연, 에너지 공급 차질, 인재 이탈, 한전 빚더미, 전기료 인상, 기업 부담 가중 등 폐해가 막대하다. 윤 대통령은 중장기 원전 로드맵을 마련하고, 원전산업지원특별법 제정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거대 야당은 집권 시기 잘못을 벌충하기 위해서라도 특별법의 국회 통과를 서두를 책임이 있다.
윤 대통령은 축사에서 “원전 르네상스를 맞이해 1000조 원 규모의 글로벌 시장이 열리고 있다”면서 원전 수출을 전폭 지원하고, 국내 원전 생태계를 완전히 정상화하겠다고 선언했다. 첫 설계수명이 지난 원전도 폐기하지 않고 안전이 입증되면 계속 가동토록 하겠다고 했다. 고사 위기에 몰렸던 원전 업계는 윤 정부 들어 8조7000억 원의 일감 확보를 토대로 가까스로 기사회생했다. 최근 체코 원전 수주에서 보듯 세계가 K-원전의 경쟁력을 인정한다.
탈원전은 국가적 재앙이었다. 원전 건설 지연, 에너지 공급 차질, 인재 이탈, 한전 빚더미, 전기료 인상, 기업 부담 가중 등 폐해가 막대하다. 윤 대통령은 중장기 원전 로드맵을 마련하고, 원전산업지원특별법 제정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거대 야당은 집권 시기 잘못을 벌충하기 위해서라도 특별법의 국회 통과를 서두를 책임이 있다.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