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간 33주년 특집
국내 매출 상위 1000대 기업 임직원 중 설문 응답자들은 외국인의 국내 투자 활성화를 위해 가장 시급히 취해야 할 조치로 ‘혁신을 저해하는 법·제도 등 규제 개선’을 꼽았다. 또 수출 주력 상품인 반도체 등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방안으로 ‘우수한 인재 육성 및 확보’가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1일 문화일보가 국내 매출 상위 1000대 기업 임직원(109개사 130명 응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38.5%는 외국인의 국내 투자 활성화를 위해 ‘혁신을 저해하는 법·제도 등 규제 개선’이 가장 시급하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다음으로 ‘복잡한 행정절차 및 관료주의 타파’(31.5%)를 들었다. 이 밖에 ‘경직적인 노사 관계 개선’(15.4%), ‘국내 반기업 정서 개선’(10.0%), ‘외국인 거주 여건 개선’(4.6%) 등의 순으로 답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 1~3분기 누적 신고기준 외국인직접투자액(FDI)은 251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2% 늘어나며 같은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내 외국인 투자가 순항 중이긴 하지만 첨단산업 주도권 확보를 둘러싼 글로벌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며 공급망 안정화와 경제 안보 강화를 위해 투자 유치를 확대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수출의 주력 품목인 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육성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38.5%가 ‘우수한 인재 육성 및 확보’라고 답했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주요 첨단기업 인재 이탈이 이어지며 우려가 큰 가운데 고급 인력 양성을 첨단산업 경쟁력 확보의 핵심 열쇠라고 본 것이다. 응답자들은 이어 ‘각종 인허가 등 규제 해소’(20.0%)와 ‘연구·개발(R&D) 지원’(19.2%)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 외에 ‘글로벌 공급망 확보’(15.4%), ‘국가 차원의 보조금 지원’(6.9%)이 뒤를 이었다.
박수진 기자 sujininvan@munhwa.com
국내 매출 상위 1000대 기업 임직원 중 설문 응답자들은 외국인의 국내 투자 활성화를 위해 가장 시급히 취해야 할 조치로 ‘혁신을 저해하는 법·제도 등 규제 개선’을 꼽았다. 또 수출 주력 상품인 반도체 등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방안으로 ‘우수한 인재 육성 및 확보’가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1일 문화일보가 국내 매출 상위 1000대 기업 임직원(109개사 130명 응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38.5%는 외국인의 국내 투자 활성화를 위해 ‘혁신을 저해하는 법·제도 등 규제 개선’이 가장 시급하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다음으로 ‘복잡한 행정절차 및 관료주의 타파’(31.5%)를 들었다. 이 밖에 ‘경직적인 노사 관계 개선’(15.4%), ‘국내 반기업 정서 개선’(10.0%), ‘외국인 거주 여건 개선’(4.6%) 등의 순으로 답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 1~3분기 누적 신고기준 외국인직접투자액(FDI)은 251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2% 늘어나며 같은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내 외국인 투자가 순항 중이긴 하지만 첨단산업 주도권 확보를 둘러싼 글로벌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며 공급망 안정화와 경제 안보 강화를 위해 투자 유치를 확대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수출의 주력 품목인 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육성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38.5%가 ‘우수한 인재 육성 및 확보’라고 답했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주요 첨단기업 인재 이탈이 이어지며 우려가 큰 가운데 고급 인력 양성을 첨단산업 경쟁력 확보의 핵심 열쇠라고 본 것이다. 응답자들은 이어 ‘각종 인허가 등 규제 해소’(20.0%)와 ‘연구·개발(R&D) 지원’(19.2%)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 외에 ‘글로벌 공급망 확보’(15.4%), ‘국가 차원의 보조금 지원’(6.9%)이 뒤를 이었다.
박수진 기자 sujininvan@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