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간 33주년 특집 - 여론조사
보수45%·TK47%도 “尹책임”
“거야 무분별 의혹제기탓” 13%
‘문화일보 창간 33주년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10명 중 6명이 여권(국민의힘) 내부 갈등 책임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독단 및 소통 미흡’을 선택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리더십 부족이라는 응답은 5%에 그쳤다.
1일 문화일보 여론조사에서 ‘지난 21일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면담을 가진 이후에도 여권이 심각한 내부 갈등에 빠지고 있다. 어느 부분의 책임이 가장 크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윤 대통령의 독단 및 소통 미흡’이 60%로 집계됐다. 이어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 확산’(14%), ‘거대 야당의 무분별한 의혹 제기’(13%), ‘한 대표의 리더십 부족’(5%) 순이다. ‘모름·무응답’은 8%였다.
모든 연령대에서 ‘윤 대통령의 독단 및 소통 미흡’이 여권 갈등의 가장 큰 책임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18∼29세 54%, 30대 50%, 40대 67%, 50대 70%, 60대 65%, 70세 이상 47%가 ‘윤 대통령의 독단 및 소통 미흡’을 선택했다. 30대는 ‘김 여사 관련 의혹 확산’이 27%로 나타나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70세 이상 응답자 25%는 ‘거대 야당의 무분별한 의혹 제기’가 가장 큰 책임이라고 대답했다.
보수층과 대구·경북 지역에서도 윤 대통령에게 책임을 돌렸다. 보수층 45%는 ‘윤 대통령의 독단 및 소통 미흡’을 여권 내홍의 가장 큰 책임이라고 대답했고, 이어 ‘거대 야당의 무분별한 의혹 제기’(23%), ‘김 여사 관련 의혹 확산’·‘한 대표의 리더십 부족’(각 12%) 순이었다.
대구·경북 지역 응답자 47%도 ‘윤 대통령의 독단 및 소통 미흡’을 선택했다. ‘거대 야당의 무분별한 의혹 제기’는 20%, ‘김 여사 관련 의혹 확산’은 16%, ‘한 대표의 리더십 부족’은 5%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지지층은 38%가 ‘거대 야당의 무분별한 의혹 제기’를 여권 내홍의 가장 큰 책임이라고 답했으나, ‘윤 대통령의 독단 및 소통 미흡’(34%)과 큰 차이가 없었다.
염유섭 기자 yuseoby@munhwa.com
■ 어떻게 조사했나
△조사기관 : 엠브레인퍼블릭 △일시 : 2024년 10월 27∼28일 △대상 :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 △조사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휴대전화 가상번호 100%) △응답률 : 10.0% △오차 보정 방법 : 2024년 9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 ±3.1%포인트 △내용 :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보수45%·TK47%도 “尹책임”
“거야 무분별 의혹제기탓” 13%
‘문화일보 창간 33주년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10명 중 6명이 여권(국민의힘) 내부 갈등 책임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독단 및 소통 미흡’을 선택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리더십 부족이라는 응답은 5%에 그쳤다.
1일 문화일보 여론조사에서 ‘지난 21일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면담을 가진 이후에도 여권이 심각한 내부 갈등에 빠지고 있다. 어느 부분의 책임이 가장 크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윤 대통령의 독단 및 소통 미흡’이 60%로 집계됐다. 이어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 확산’(14%), ‘거대 야당의 무분별한 의혹 제기’(13%), ‘한 대표의 리더십 부족’(5%) 순이다. ‘모름·무응답’은 8%였다.
모든 연령대에서 ‘윤 대통령의 독단 및 소통 미흡’이 여권 갈등의 가장 큰 책임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18∼29세 54%, 30대 50%, 40대 67%, 50대 70%, 60대 65%, 70세 이상 47%가 ‘윤 대통령의 독단 및 소통 미흡’을 선택했다. 30대는 ‘김 여사 관련 의혹 확산’이 27%로 나타나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70세 이상 응답자 25%는 ‘거대 야당의 무분별한 의혹 제기’가 가장 큰 책임이라고 대답했다.
보수층과 대구·경북 지역에서도 윤 대통령에게 책임을 돌렸다. 보수층 45%는 ‘윤 대통령의 독단 및 소통 미흡’을 여권 내홍의 가장 큰 책임이라고 대답했고, 이어 ‘거대 야당의 무분별한 의혹 제기’(23%), ‘김 여사 관련 의혹 확산’·‘한 대표의 리더십 부족’(각 12%) 순이었다.
대구·경북 지역 응답자 47%도 ‘윤 대통령의 독단 및 소통 미흡’을 선택했다. ‘거대 야당의 무분별한 의혹 제기’는 20%, ‘김 여사 관련 의혹 확산’은 16%, ‘한 대표의 리더십 부족’은 5%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지지층은 38%가 ‘거대 야당의 무분별한 의혹 제기’를 여권 내홍의 가장 큰 책임이라고 답했으나, ‘윤 대통령의 독단 및 소통 미흡’(34%)과 큰 차이가 없었다.
염유섭 기자 yuseoby@munhwa.com
■ 어떻게 조사했나
△조사기관 : 엠브레인퍼블릭 △일시 : 2024년 10월 27∼28일 △대상 :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 △조사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휴대전화 가상번호 100%) △응답률 : 10.0% △오차 보정 방법 : 2024년 9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 ±3.1%포인트 △내용 :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관련기사
-
尹 지지율 17%… 취임 이후 최저 [창간 33주년 특집]
-
“尹대통령 잘못하고 있다” 78%… 서울 지역 지지율 12%[창간 33주년 특집]
-
이재명 26%·한동훈 14%… 오세훈·조국·홍준표 각각 6%[창간 33주년 특집]
-
‘김 여사 해법’ 野추천 특검 30%·중립 특검 27%… 특별감찰관은 11%[창간 33주년 특집]
-
내일 오후 대규모 ‘김건희 규탄대회’ …이재명, 정국 분기점으로 보고 총력
-
민주당 24% vs 국민의힘 23% ‘팽팽’… 무당층 39% 달해[창간 33주년 특집]
-
민주 ‘상설특검 규칙 개정안’ 단독처리… 국힘 “위헌”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