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미·친북 논란 촛불행동 등
민주 지도부와 주말 장외집회

박근혜 탄핵 주도한 민중행동
9일‘윤석열 퇴진 총궐기’예고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2일 ‘김건희 여사 특검’을 요구하는 대규모 장외집회를 열면서 야당과 진보 단체들이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촛불 시위를 재연하려는 시도에 나섰다는 평가가 4일 나오고 있다. 정권 초부터 윤석열 대통령 탄핵·퇴진을 외쳐온 시민단체들을 누가 주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이들 단체는 올 연말 대규모 집회를 잇따라 열어 반정부 여론을 최고조로 끌어올릴 예정이다.

2일 민주당이 서울 중구 서울역 일대에서 연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특검 촉구 국민 행동의 날’ 집회엔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현역 의원들이 총출동한 가운데 주최 측 추산 약 30만 명(경찰 추산 1만7000명)이 모였다. 이날 이 대표는 직접 탄핵 관련 발언을 하진 않았지만, ‘2016년 촛불혁명’을 거론하며 박 전 대통령 탄핵으로 이어진 국정농단 사태를 암시했다.

앞줄에선 김민웅 전 경희대 교수가 당 지도부와 나란히 앉아 구호를 외쳤다. 김 전 교수는 민주당에서 계엄 의혹과 윤 대통령 퇴진론 등을 앞장서 제기하고 있는 김민석 민주당 수석최고위원의 친형으로, 현 정부 출범 이후 무려 113차례나 집회를 연 촛불승리전환행동(촛불행동)을 이끌고 있다. 친북·반미 활동으로 숱한 논란을 야기했던 국민주권연대·한국대학생진보연합(대진연) 등도 소속 단체로 함께 활동한다. 김 전 교수는 이날 저녁 따로 열린 촛불행동 집회에서 “탄핵이 전쟁과 계엄을 막는 길” “롱패딩을 입기 전에 결판내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 집회 참가자들 사이에선 15일 공직선거법 위반 1심 선고를 앞두고 있는 이 대표의 ‘방탄’ 여론전을 시도하는 움직임도 관찰됐다. 집회장 곳곳에 세워진 천막에선 이 대표를 위한 탄원서 서명을 받고 있었다. ‘검찰이 이 대표를 제거하기 위해 쪼개기 억지 기소와 허위 진술을 통한 사건 조작으로 음해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온라인으로 탄원서를 쓸 수 있는 QR코드도 곳곳에 붙어 있었다. 탄원서를 받던 최종국 인천민주시민행진 집행위원은 “저것들이 법을 이용해서 사람 하나 조지려고 하면 우리도 똑같이 법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석열정권퇴진운동본부와 전국민중행동도 오는 9일 숭례문 앞에서 ‘윤석열 정권 퇴진 총궐기’를 열겠다고 예고했다. 전국민중행동은 2016년 국정농단 사태 당시 만들어졌던 ‘민중총궐기투쟁본부’가 민중공동행동을 거쳐 확대 개편된 조직이다. 퇴진운동본부와 전국민중행동 양쪽에 대표자로 이름을 올리고 있는 박석운 씨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광우병, 세월호, 국정농단 등 한국 사회의 변곡점이 된 주요 집회·시위를 이끌어 왔지만, 보수 정권에 각을 세워온 ‘전문 시위꾼’이란 부정적 평가도 적잖다. 박 씨는 과거 성남시립의료원 초대 이사로 선임되는 등 이 대표와도 인연이 있다.

이날 서울을 찾은 외국인과 일반 시민들은 소음과 교통 장애에 불편을 호소했다. 인근을 지나던 60대 여성 김모 씨는 “겉멋 들어서 민주주의를 덜 배운 사람들이 시위에 나오니 문제”라며 “시끄럽기만 하고 시민 의식은 없다”고 비판했다.

조재연 기자 jaeyeon@munhwa.com
조재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