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 고용센터를 방문한 시민이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한 고용센터를 방문한 시민이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연공·호봉급제에 인건비 가중’ 등 이유 꼽아
한경협, 고령자 고용정책에 관한 기업 인식 조사



정년 연장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근로자의 정년이 연장될 경우 연공(근무 기간)·호봉급제로 인해 경영에 부담을 느낀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종업원 300인 이상 국내 기업 121곳의 인사 노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고령자 고용정책에 관한 기업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7.8%는 정년이 연장될 경우 경영에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정년 연장이 경영에 부담이 된다는 기업들은 ‘연공·호봉급 체계에 따른 인건비 부담 가중’(26.0%)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어 ‘조직 내 인사 적체 심화’(23.2%), ‘청년 신규 채용에 부정적 영향’(19.3%), ‘고령 근로자의 생산성 감소’(16.6%) 등을 이유로 들었다.

계속 고용 제도가 도입될 경우 선호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엔 가장 많은 71.9%가 ‘퇴직 후 재고용’을 택했다. 퇴직 후 재고용을 선호하는 이유는 ‘재고용에 따른 고용 유연성 확보’(35.2%), ‘전문성·희망자 등 일정 기준에 적합한 근로자만 계속 고용 가능’(25.8%), ‘고령 근로자의 생산성에 연계해 임금수준 조정 가능’(24.5%) 등 순이었다.

기업들은 고령자 고용에 따른 인사 노무 관리상 어려움으로 ‘고령 근로자의 건강 문제 및 산재 리스크 대응’(28.9%), ‘생산성 저하’(28.9%), ‘높은 인건비 부담’(24.8%) 등을 꼽았다. 고령자 계속 고용 환경 조성을 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과제는 ‘고령 인력 채용에 대한 인건비 지원 확대’(28.1%), ‘고령 인력 채용에 대한 세제 혜택’(24.0%), ‘임금체계 개편을 위한 취업규칙 변경 절차 개선’(22.3%) 등 순으로 답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령자 고용기업 혜택 확대, 직무 가치·생산성 등을 반영한 임금체계 개편 등을 통해 고령 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용권 기자
이용권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