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로고. 연합뉴스
검찰 로고. 연합뉴스


6~7번째 소환 요구…檢 “여러 가능성 검토 중”


이른바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돈봉투 수수 혐의를 받는 현직의원들에게 출석요구서를 보냈지만 아직 출석 의사를 밝힌 의원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의원들은 지난 1월부터 이어진 출석요청에 응하지 않고 있다.

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부장 최재훈)는 민주당 돈봉투 사건에서 돈봉투를 수수한 혐의를 받는 김영호·민병덕·박성준·백혜련·전용기 민주당 의원, 황운하 조국혁신당 의원 등에게 11월 중순까지 검찰에 출석해달라는 출석요구서를 최근 발송했다. 앞서 검찰은 출석요구서 발송 전 해당 의원들과 출석 가능한 날짜를 사전에 조율하려고 했으나 이에 대한 회신이 없어 결국 11월 중순까지 나와달라고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해당 의원들에 대한 대면조사가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검찰은 지난 1월부터 해당 의원들에 대한 출석요구서를 수차례 보냈으나 소환조사는 단 한 차례도 성사되지 않았다. 검찰관계자는 “(체포영장 청구나 소환조사 없이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등 여러 방안을 열어두고 보고 있다”면서도 “대면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출석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최근 검찰 주변에서는 이번 사건처럼 사건관계인이 소환조사에 불응해 수사속도가 늦어지는 일이 적지 않다. 타이이스타젯 특혜채용을 수사하고 있는 전주지검 형사3부(부장 한연규) 역시 문재인 전 대통령의 딸 다혜 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3차례 불렀지만 문 씨가 “참고인이라 출석할 의무가 없다”며 출석을 거부해 아직 조사하지 못했다. 출석하더라도 조사에 협조하지 않으면 소환조사 자체가 무용지물이라는 지적도 있다. 한 검찰관계자는 “참고인이든 피의자든 결국 출석하더라도 묵비권을 행사한다면 실질적 효과가 없다”고 했다. 타이이스타젯 특혜채용 관련 참고인 신분으로 8월 전주지검에 출석한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역시 조사에서 줄곧 묵비권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사건 핵심참고인으로 지목된 전 청와대 행정관 신모 씨 역시 9월 서울남부지법에서 열린 공판 전 증인신문에서 70여 개가 넘는 질문에 모두 답변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현웅 기자
이현웅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