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로이터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로이터연합뉴스


테슬라 보관액 22조5000억원…엔비디아, 애플, MS가 뒤를 이어
증시 부진에 예탁금 한주간 5천억원 줄어…파킹자금 MMF 7조2천억 증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승리를 도와 ‘킹 메이크’로 통하는 일론 머스크의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국내 투자자들이 보유 중인 해외 주식 가운데 평가액 1위 자리를 되찾은 것으로 파악됐다.

9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중 보관금액 1위는 테슬라로 162억473만8871달러(약 22조4695억원)로 집계됐다.

한때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반도체 칩 제조사 엔비디아에 밀리기도 했지만, 주가 상승으로 해외 주식 보관액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2위는 엔비디아로 134억7297만2251달러(약 18조6816억원)였다.

이어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가 각각 45억4993만4715달러(약 6조3089억원), 35억2천160만460달러(약 4조8838억원)로 3, 4위를 차지했다.

테슬라는 최고경영자(CEO)인 머스크가 미국 대선 과정에서 트럼프 당선인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면서 이번 대선의 최대 수혜주로 꼽힌다. 트럼프 대선 승리의 ‘일등 공신’으로 꼽히는 머스크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정부효율위원회 위원장 자리를 예약해둔 상태다.

테슬라 주가는 대선 다음 날인 6일(현지시간) 14.75% 폭등했고, 이에 머스크의 자산도 덩달아 265억달러(약 36조7000억원)가 불어났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당선인의 대선 공약 중 "규제 완화와 세금 감면이 있었으며 규제 완화가 일론 머스크가 추진하는 기술 개발 속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면서 "2025년은 신차 출시, FSD(Full Self Driving) 확대, 로보 택시 서비스가 시작하면서 (테슬라의) 축적된 잠재력이 발현되는 시기"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그는 머스크의 지분율이 테슬라(20%)보다 인공지능(AI) 기업인 xAI(60%)와 X(옛 트위터·74%), 스페이스X(42%), 뉴럴링크(100%) 등이 더 높다면서 "트럼프 당선으로 규제 완화가 테슬라에 필요한 자율주행이나 로봇이 우선일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낙관 편향"이라고 말했다.

김윤림 기자
김윤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