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경자(1924∼2015) 화백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천 화백의 고향인 전남 고흥에서 전시가 개최된다. 천 화백의 탄생일인 11일 개막해, 다음 달 31일까지 고흥분청문화박물관과 고흥아트센터에서 열리는 천경자 작가 탄생 100주년 기념 특별전 ‘찬란한 전설, 천경자’에는 오랫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작품을 비롯해 채색화 29점, 드로잉 23점, 아카이브 등 총 160여 점이 전시된다.
천 화백은 고흥 서문리에서 태어나 고흥공립보통학교 졸업 후 광주로 유학했다. 광주에서 고등학교를 나온 후 일본 동경여자미술전문학교(현 동경여자미술대학)에서 공부하던 중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외할아버지를 그린 ‘조부’와 외할머니를 그린 ‘노부’가 연달아 입선하며 본격적으로 화가의 길에 들어섰다.

고흥분청문화박물관에서 열리는 주제전에서는 그림과 유품, 사진, 친필 편지 등을 소개한다. 천 화백의 모교인 고흥공립보통학교 3년 선배인 임길례를 모델로 그린 ‘길례언니’ 시리즈 중 ‘길례언니 Ⅱ’, 여동생 ‘옥희’를 모델로 한 것으로 보이는 ‘여인 스케치’, 1955년 미협전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100호 크기 ‘정(靜)’, 작가가 즐겨 썼던 군청색이 두드러지는 1960년대작 ‘굴비를 든 남자’, 1970년대 말의 대표작 ‘탱고’ 등 주로 화풍의 변화를 보여주는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전시 주최 측에 따르면, 이번 전시에는 오랫동안 일반에 공개된 적 없는 작품들도 다수 포함됐다. 예컨대, 1956년 국전에 출품됐던 것으로 추정되는 120호 크기 ‘제주도 풍경’은 수십 년 간 전시된 적이 없다. 또, 작가가 프랑스 파리에 머물던 1969년~1970년에 그린 것으로 보이는 유화 ‘누드’는 1970년 귀국전에서 한번 소개됐으나, 이후 한 번도 전시에 나온 적이 없다.

이밖에, 천 화백과 가까웠던 박경리 작가 등 지인들이 보낸 편지들, 자서전 ‘내 슬픈 전설의 49페이지’의 삽화 ‘유리상자 안의 뱀’ 등 각종 삽화까지 만날 수 있다.
한편, 고흥아트센터는 공모로 선정된 청년작가 82명이 천 화백을 기리며 각자의 스타일로 재해석한 작품을 전시한다. 이번 특별전은 천경자의 둘째 딸 수미타 김(김정희)이 예술총감독을 맡았다. 무료 관람.
박동미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