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서울 도심에서 열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주도 ‘윤석열 정권 퇴진 1차 총궐기’ 집회에서 고질적인 불법 폭력 시위가 재발했다. 민노총은 세종대로 양방향 9개 차로 중 허가받은 5개 차로를 벗어나 전체 차로를 점거하고, 이를 저지하는 경찰관 105명에게 부상을 입혔다고 경찰이 밝혔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5년 민노총 등이 주도한 민중 총궐기 때 경찰 129명이 부상한 이래 최대 규모다. 지난해엔 불법 노숙 집회로 물의를 빚었다.

경찰은 일반 시민의 최소한의 통행을 위한 차로만이라도 확보하기 위해 분리대를 넘어오지 말 것을 여러 차례 경고했으나, 민노총 조직쟁의국장의 ‘(폴리스라인을) 밀어내자’는 선동과 함께 펜스를 들어 밀어붙였고, 이 과정에서 많은 경찰이 넘어지고 다쳤다. 가위 무법천지였다. 경찰은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11명을 현장에서 체포했고 6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며, 검찰은 4명에 대해 영장 청구했다고 한다. 경찰은 양경수 위원장 등 민노총 지도부 7명에 대해서도 내사에 들어갔다. 법치주의와 공권력에 대한 이런 도전에 대해선 철저한 수사를 통해 무관용 원칙에 따라 배후까지 밝혀 엄단하지 않으면 안 된다.

더 심각한 문제는 더불어민주당의 비호다. 이재명 대표는 1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1980년대 폭력경찰 백골단의 모습이 떠오른다”고 했는데, 정복 경찰의 질서 유지 노력을 매도하고, 불법 시위 공범임을 자처하는 듯한 궤변이다. 이 대표는 “군을 동원해서 전쟁을 유발하려 하는 것 같고, 경찰을 동원해서 폭력을 유발하려 하는 것 같다”고도 했다. 밑도 끝도 없는 적반하장 선동이다. 민노총은 오는 20일과 다음 달 7일에도 집회를 이어갈 예정이다. 이 대표야말로 폭력 시위를 유발하려는 것으로 의심받을 만하다. 자신의 선거법 위반 재판 등의 1심 선고를 앞두고 있더라도 이런 언행은 지도자 자격을 팽개치는 것과 다름없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