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 등이 9일 오후 서울 세종대로에서 윤석열정권 퇴진 운동본부와 민주노총이 주최한 2024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 총궐기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있다. 뉴시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 등이 9일 오후 서울 세종대로에서 윤석열정권 퇴진 운동본부와 민주노총이 주최한 2024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전국노동자대회·1차 퇴진 총궐기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있다. 뉴시스


‘폭력 경찰’ ‘정권 하수인’ 주장
11명 연행…경찰관 105명 부상

더불어민주당 등 5개 야당이 19일 경찰청을 방문해 지난 9일 민주노총 등의 ‘윤석열 정권 퇴진 1차 총궐기’ 집회에서 경찰이 폭력 진압을 했다며 사과와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그러나 경찰은 "절제된 공권력 행사였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윤·박주민·박홍배·이용우(민주당), 강경숙·정춘생(조국혁신당), 윤종오·정혜경(진보당), 한창민(사회민주당), 용혜인(기본소득당) 의원 등은 이날 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경찰은 9일 ‘폭력 경찰’ ‘정권 하수인’이라는 오명을 스스로에게 씌웠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평화롭게 진행하던 노동자 집회를 무장한 경찰 병력을 동원해 무리하게 해산하는 과정에서 11명의 노동자와 시민이 연행됐다"는 주장을 이어갔다.

야 5당 의원들은 "평화롭던 노동자 집회를 무리하게 해산하는 과정에서 노동자와 시민이 연행되고, 한창민 의원은 갈비뼈가 부러졌다"며 "국민 주권의 원칙과 집회의 자유를 보장한 대한민국 헌법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란 주장도 내놨다.

이들은 조지호 경찰청장을 향해 폭력 진압에 대한 사과 및 수사 즉각 중단, 한 의원을 다치게 한 것과 허위사실 유포로 명예를 실추한 것에 대한 사과, 폭력 진압의 경위 공개 및 책임자 처벌, 폭력 진압 재발 방지 약속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조 청장은 이들과의 면담에서 사과 요구를 거부하고, 절제된 공권력 행사란 원론적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9일 집회에선 경찰관을 폭행하거나 경찰의 해산 명령에 불응한 혐의로 11명(조합원 10명·일반인 1명)의 참가자가 경찰에 연행됐다. 집회 관리 과정에서 크고 작은 부상을 입은 경찰관은 105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주최 측은 20일 오후에도 서울 중구 숭례문 앞과 세종대로 일대에서 ‘윤석열 정권 퇴진 2차 총궐기’를 연다.

조재연 기자
조재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