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김태흠,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공동선언한다

이장우 대전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김태흠 충남지사


21일 오후 옛 충남도청서 대전시장·충남지사·시도의회 의장 4인 추진선언
시·도민 의견 수렴 실무협의체 출범·민관추진위 발족, 지원단 설치될 듯
"규모의 행정·경제 체제 갖춰야 경쟁력", "세종·충북 어렵다면 양 시·도 先통합"
대구·경북 통합 잰걸음속 부산·경남, 광주·전남 관련 논의 활발



대전=김창희 기자



대전시와 충남도가 내일 양 시·도의 행정통합 추진을 공동 선언한다.

20일 대전시와 충남도에 따르면 이장우 대전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조원휘 대전시의회의장, 홍성현 충남도의회의장은 21일 오후 대전 중구 선화동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충청 행정통합 추진을 공동 선언하고 시·도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실무협의체를 출범할 계획이다.

민관추진위원회 발족과 실무지원단 설치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전문과 총 5조로 구성된 추진 선언문을 낭독한 뒤 선언문에 서명할 예정이다.

양 시도는 시·도민의 의견을 수렴해 통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서로 동수의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통합 관련한 다양한 안을 함께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여기에는 양 시도의회와 기초단체장, 시도민 의견 수렴이 필수적이다. 통합 청사는 대전과 내포 2곳에 각각 두는 방안이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지난 19일 수도권 과밀화와 지방소멸 위기 속에 충청권 발전을 위한 대응 방안으로 ‘규모의행정·경제’ 체제를 갖출 수 있는 행정통합을 거론한 바 있다. 이 시장은 "대전과 충남은 충청권에서도 가장 한 뿌리였던 지역"이라며 "대전시와 충남도를 통합하면 인구 360만 명의 경쟁력을 갖추게 되는데 이 정도면 충분히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그는 이어 "오는 2026년 지방선거 전까지 행정통합의 기초 합의가 이뤄지면 좋겠다"고 밝혀 2026년 지방선거에서 대전·충남 통합단체장 1명을 선출하는 선구 구도를 구상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김태흠 충남지사 역시 최근 "충청권 4개 시도의 행정 통합이 어렵다면 대전시장과 공감대를 형성한 만큼 뿌리가 같은 충남과 대전이 먼저 행정 통합을 이루는 등 투 트랙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타 지역에서는 대구와 경북의 행정통합 논의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부산·경남, 광주·전남에서도 행정통합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행정통합 논의를 선도하고 있는 대구·경북의 경우 지난 10월 통합 공동합의문을 발표한 데 이어 11월 주민설명회, 12월 시·도의회 의결, 내년 특별법 제정 등의 절차를 밟고 있다. 2026년 7월 통합 지자체 출범이 목표다.

부산시와 경남도는 지난 8일 부산·경남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를 출범시켰다. 부산경남의 행정통합은 지속되는 인구감소와 지역경제 침체 등 지방의 위기를 해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광주·전남도 대구경북의 행정통합 추진에 관심을 보이며 자체적인 논의를 조심스럽게 검토 중이다.
김창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