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전 세계의 관심은 26일(현지시간) 발표될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제롬 파월 Fed의장을 비롯해 연준 인사들이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을 열어두기 시작하면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지 관심이 모인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이 7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기자회견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AP연합뉴스
◇1콕: 미국 추수감사절 앞두고 FOMC 의사록 관심=이번 주 뉴욕 증시는 변동성이 컸던 11월의 거래를 마무리한다. 28일 미국의 추수감사절을 앞두고 뉴욕 증시는 당일 휴장, 다음 날에는 조기 폐장하면서 주 거래일은 3.5일로 큰 변수가 없으면 강세로 마무리할 전망이다. 특히 이번 주에는 Fed가 FOMC 최신 의사록을 26일 발표한다. 또 Fed가 중요시하는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27일 발표된다. 이 결과에서 물가가 끈질기게 높게 나타나면 Fed는 올해 한 차례 남은 FOMC에서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최근 연준 인사들이 금리 인하에 속도 조절을 할 필요성을 언급한 만큼 12월 금리 동결 가능성도 높아졌다. 이외에도 미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GDP) 잠정치도 발표될 예정이다. 추수감사절이 지나면 뉴욕증시는 본격적인 연말 장세로 돌입한다. 연말을 앞두고 월가에서는 증시에 대한 장밋빛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뉴욕증시는 연말에 접어들면 ‘산타 랠리’로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는 내년 말까지 S&P500지수가 6500선으로 오를 수 있다고 관측하고 있다. 일부 투자은행들은 강세장이 펼쳐질 경우 내년 말까지 S&P500지수가 7000선까지 돌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증시 강세론자들은 강한 미국 경제와 기업들의 성장세, 인공지능(AI) 거래로 뉴욕증시가 올해와 내년 초 강세를 보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구글. 로이터연합뉴스
◇2콕: 반(反)독점 소송 첩첩산중 구글, 온라인 광고 시장 반독점 승소할까=빅테크의 시장 독점을 막기 위한 소송이 각국에서 시작되면서 구글은 복수의 반(反)독점 소송에 직면했다. 온라인 광고 시장을 두고 구글은 법무부와 반독점 소송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25일 미국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에서 디지털 광고 기술 시장을 불법 독점했다는 혐의에 대한 최종 변론이 열린다. 블룸버그통신은 "법원은 구글의 독점 여부가 판단되면 광고기술사업 일부를 매각하도록 판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만약 법무부가 승소하면 광고주가 구글 광고를 관리하는 플랫폼인 구글 애드 매니저가 강제 매각될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지난 9월 미국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에서 미 법무부가 제기한 구글 온라인 광고 반독점 소송이 시작됐다. 법무부 측은 모두 진술에서 "구글이 매초 15만 건 이상 온라인 광고를 통해 기술 인프라를 지배하고 있다"며 "구글이 인수를 통해 경쟁사를 제거하고, 온라인 광고 시장의 거래 방식을 통제해 이용자가 자사 제품을 사용하도록 하는 등 전형적인 독점 전략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법무부는 구글이 검색 시장에서 지배적 위치를 이용해 경쟁사 광고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는 입장이다. 당시 구글은 법무부 측 주장이 "옛날 얘기"라며 반박했다. 구글 수석 변호사 캐런 던은 "법무부는 구글이 경쟁사와의 연결 도구를 개발하고 있던 과거 역사를 바탕으로 소송을 제기했다"며 "현재 구글의 도구는 경쟁사와 상호 운용이 가능하고 디지털 광고 매출이 앱과 스트리밍 영상 시장으로 이동해 아마존, 컴캐스트 등과의 경쟁하고 있다"이라고 했다. 한편 유럽연합(EU)에서도 구글은 반독점 소송을 벌이고 있고 올해 말 최종 판결을 앞두고 있다. EU 경쟁당국은 "구글의 반독점권을 해소하는 유일한 방법은 매각뿐"이라고 밝혔다.
아일랜드 최연소 총리인 사이먼 해리스. AFP 연합뉴스
◇3콕 : 아일랜드 조기 총선=38세로 아일랜드 최연소 총리인 사이먼 해리스 아일랜드 총리가 취임 7개월여 만인 29일 조기 총선을 치른다. 규정상 총선은 내년 3월까지 치르면 되지만 조기 총선을 선택한 이유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재집권이 미칠 영향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아일랜드는 미국 빅테크를 다수 유치해 이들에 고용과 세수 등을 의존하고 있는 덕분에 재정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저세율 개방형 경제 모델을 꾸려온 아일랜드가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자국 법인세 인하, 수입품 고율 관세와 같은 정책을 추진하면 어떻게 대응해 나갈지가 큰 현안이 될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은 분석했다. 증가세인 이민도 이번 총선에서 주요 현안이 됐다. 아일랜드는 우크라이나 난민 10만명을 수용했고, 망명 신청자 급증과 다국적 인력 유입으로 주택난이 악화했다. 아일랜드 집값은 2013년 저점과 비교해 150% 폭등했다. 아일랜드에는 독일대안당(AfD)이나 프랑스 국민연합(RN)과 같은 단일 극우 정당은 없으나 반이민을 내세운 개별 정치인에 대한 지지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2020년부터 아일랜드는 중도우파 통일아일랜드당과 중도우파 아일랜드공화당이 소수당인 녹색당과 연립정부를 구성하고 있다. ‘아일랜드 여론조사 지표’에 따르면 최근 통합아일랜드당 지지율은 24.5%, 아일랜드공화당은 21.5%로, 신페인당(18.5%)에 크게 앞선다. 민족주의 정당인 신페인당 지지율은 1년 전 35%였으나 급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