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럼프發 ‘관세폭격’ 직격탄
“美 관세전쟁 희생양되나” 우려
삼성·LG전자 등 대책마련 고심
정부, 멕시코 정부와 긴밀협조
기업 경영 불확실성 대비 최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내년 1월 취임 첫날부터 멕시코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멕시코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에 ‘초비상’이 걸렸다. 정부는 멕시코 연방정부 등과 협력하며 기업 경영 불확실성에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26일 산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재검토할 가능성이 있어 현지 진출 기업들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산 제품에 60~100% 관세율을 부과한다는 공약을 밝힌 바 있는데, 이번에는 무역적자 규모 2위인 멕시코를 상대로 관세율 인상 조치에 나서겠다고 경고한 것이다. 원활한 미국 수출을 위해 ‘니어쇼어링’(수출 상대국 인접국으로 생산기지 이전) 전략을 진행,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당장 내년부터 멕시코와 미국 간 관세전쟁의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발 등에 불’이 떨어진 멕시코 현지 진출 국내 기업들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멕시코 레이노사, 몬테레이, 라모스 등에 각각 TV, 냉장고, 전기장치 등의 생산기지를 가동하고 있는 LG전자 관계자는 “통상 정책 변화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관계자도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대응안을 고심하고 있다”며 “미국과 다른 지역에도 공장이 많으니 잘 활용하는 방안 등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멕시코에서 액정표시장치(LCD)와 발광다이오드(LED)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LS전선 관계자도 “내부에서 대응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LS전선은 올해 들어 멕시코에 전기차 부품 공장을 준공했고, ‘버스덕트’(대용량 전력 공급 시스템) 생산 기지도 착공한 상태다.
일부 기업은 원가 경쟁력을 분석해 미국으로 공급하는 제품의 생산지 운영을 다각화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괄적인 관세 부과의 최종적인 영향은 결국 현지 유통과 소비자들이 입게 될 것”이라며 “통상적으로 부품·완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제품값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 조치가 불법 이민 문제에서 기인한 것은 아니라고 봤다. 현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과거와 같은 불법 이민 문제에서 양국 간 갈등이 비롯된 것이 아니다” 라며 “미국으로 수출이 용이한 멕시코에 많은 기업이 진출해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2일 멕시코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의 ‘관세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멕시코 진출 기업 간담회를 진행한 바 있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자원본부장은 “멕시코 연방정부를 비롯해 우리 기업들이 다수 진출해 있는 주(州) 정부와도 협력채널을 구축·가동함으로써 우리 기업들의 경영 불확실성을 최소화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종원 산업부 차관보도 “아직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정책이 구체화한 단계는 아니기 때문에 현재는 업계와 소통하면서 현황 파악을 하는 동시에 최선의 대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승주·이예린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