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 환원율 20% → 50% 확대
카카오뱅크가 3년 내 자산 100조 원의 종합 금융 플랫폼으로 도약하고 주주 환원율을 현행 20%에서 최대 50%까지 확대한다고 26일 밝혔다.
카카오뱅크는 이날 ‘2024 애널리스트 간담회’를 통해 공개한 중장기 전략과 기업가치 제고 계획안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2027년까지 △고객 수 3000만 명 △자산 100조 원 △수수료·플랫폼 수익 연평균 20% 성장 등 중장기 사업 목표를 제시했다. 2030년까지 연평균 15% 이상으로 영업이익을 늘리고 자기자본이익률(ROE)도 15%까지 높이기로 했다.
카카오뱅크는 성장 중심의 밸류업 전략의 방향성으로 ‘성장 지속’과 ‘혁신의 확장’을 두 축으로 삼았다. 다양한 고객군을 위한 전용 서비스를 출시해 전 연령 침투율을 확대할 방침이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는 “압도적인 트래픽과 소비자 참여 확대를 기반으로 순이자마진(NIM), 플랫폼 등 수익 모델을 최적화해 운영하고 핵심 경쟁력을 글로벌, 투자·인수합병(M&A) 영역으로 확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정경 기자 verite@munhwa.com
카카오뱅크가 3년 내 자산 100조 원의 종합 금융 플랫폼으로 도약하고 주주 환원율을 현행 20%에서 최대 50%까지 확대한다고 26일 밝혔다.
카카오뱅크는 이날 ‘2024 애널리스트 간담회’를 통해 공개한 중장기 전략과 기업가치 제고 계획안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2027년까지 △고객 수 3000만 명 △자산 100조 원 △수수료·플랫폼 수익 연평균 20% 성장 등 중장기 사업 목표를 제시했다. 2030년까지 연평균 15% 이상으로 영업이익을 늘리고 자기자본이익률(ROE)도 15%까지 높이기로 했다.
카카오뱅크는 성장 중심의 밸류업 전략의 방향성으로 ‘성장 지속’과 ‘혁신의 확장’을 두 축으로 삼았다. 다양한 고객군을 위한 전용 서비스를 출시해 전 연령 침투율을 확대할 방침이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는 “압도적인 트래픽과 소비자 참여 확대를 기반으로 순이자마진(NIM), 플랫폼 등 수익 모델을 최적화해 운영하고 핵심 경쟁력을 글로벌, 투자·인수합병(M&A) 영역으로 확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정경 기자 verite@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