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균 게이트를 수사 중인 창원지검이 27일 서울 여의도의 국민의힘 당사와 국회 의원회관의 여당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초유의 일이 벌어졌다. 검찰이 야당 당사를 몇 차례 압수수색한 적이 있지만, 여당 중앙당사에 대해 그렇게 한 전례는 없다. 2022년 6·1 재보궐 선거와 지방선거 당시 김영선 전 의원 등에 대한 공천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여당이 순순히 응한 것도 의외였다.
명 씨에 대한 수사의 1차 초점은, 당시 창원 의창 보궐선거 때 당 지도부가 지역 연고가 없는 김 전 의원을 “높은 지지율 등 경쟁력이 있어 공천했다”고 한 주장을 검증하는 것이다. 앞서 명 씨는 미래한국연구소 직원이던 강혜경 씨에게 김 전 의원에 대한 여론조사를 지시하며 “35%로 만들어라”고 했고, 당시 이준석 대표가 ‘이기는 조사를 갖고 오면 전략 공천을 준다고 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미 여론조사 조작 정황은 꽤 구체적으로 나왔고,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식 전날이던 2022년 5월 9일 명 씨에게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다”는 녹취가 공개된 바도 있다.
수사의 최대 관심사는, 무슨 이유로 윤 대통령 부부가 김 전 의원 공천에 관심을 가졌느냐다. 명 씨가 관여된 미래한국연구소 측이 여론조사 기관에 준 ‘김 여사에게 돈을 받아 갚겠다’는 내용의 채무이행 각서를 검찰이 확보했다고 한다. 명 씨가 대선 기간 윤 대통령을 위해 81차례 여론조사를 실시하고도 대가를 받지 못했다는 주장과 연관이 있는지, 김 전 의원 공천이 여론조사 대가인지도 규명해야 할 과제다. 김진태 강원도 지사, 박완수 경남도 지사 공천에도 명 씨와 윤 대통령 부부 이름이 거명되고 있고, 오세훈 서울시장도 한 후원자가 여론조사 비용 명목으로 3300만 원을 대신 지급했다는 의혹도 나온다.
현직 대통령 부부는 물론 유력 정치인들이 대거 거론되는 사건이다. 일말의 의혹도 남기지 않도록 성역 없이 수사해 진상을 밝혀내야 한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의 ‘김건희 여사 봐주기 조사’ 논란 같은 후유증을 남겨선 안 된다. 그래야 야당의 ‘이재명 방탄’ 행태를 비판할 정당성도 더 커진다. 검찰의 신뢰와 명예가 걸려 있다.
명 씨에 대한 수사의 1차 초점은, 당시 창원 의창 보궐선거 때 당 지도부가 지역 연고가 없는 김 전 의원을 “높은 지지율 등 경쟁력이 있어 공천했다”고 한 주장을 검증하는 것이다. 앞서 명 씨는 미래한국연구소 직원이던 강혜경 씨에게 김 전 의원에 대한 여론조사를 지시하며 “35%로 만들어라”고 했고, 당시 이준석 대표가 ‘이기는 조사를 갖고 오면 전략 공천을 준다고 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미 여론조사 조작 정황은 꽤 구체적으로 나왔고,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식 전날이던 2022년 5월 9일 명 씨에게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다”는 녹취가 공개된 바도 있다.
수사의 최대 관심사는, 무슨 이유로 윤 대통령 부부가 김 전 의원 공천에 관심을 가졌느냐다. 명 씨가 관여된 미래한국연구소 측이 여론조사 기관에 준 ‘김 여사에게 돈을 받아 갚겠다’는 내용의 채무이행 각서를 검찰이 확보했다고 한다. 명 씨가 대선 기간 윤 대통령을 위해 81차례 여론조사를 실시하고도 대가를 받지 못했다는 주장과 연관이 있는지, 김 전 의원 공천이 여론조사 대가인지도 규명해야 할 과제다. 김진태 강원도 지사, 박완수 경남도 지사 공천에도 명 씨와 윤 대통령 부부 이름이 거명되고 있고, 오세훈 서울시장도 한 후원자가 여론조사 비용 명목으로 3300만 원을 대신 지급했다는 의혹도 나온다.
현직 대통령 부부는 물론 유력 정치인들이 대거 거론되는 사건이다. 일말의 의혹도 남기지 않도록 성역 없이 수사해 진상을 밝혀내야 한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의 ‘김건희 여사 봐주기 조사’ 논란 같은 후유증을 남겨선 안 된다. 그래야 야당의 ‘이재명 방탄’ 행태를 비판할 정당성도 더 커진다. 검찰의 신뢰와 명예가 걸려 있다.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