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에 그려진 지방 지도인 ‘만경현 고군산진 지도’는 오늘날 전북 군산 선유도 앞바다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삼국 시대부터 한반도와 중국 지역을 잇는 중요한 뱃길로 여겨졌던 이 곳에서 조선 시대까지도 여전히 왕성한 해상교역이 이뤄졌음을 뜻한다.
마치 고문서의 기록을 증명이나 하듯 올해 선유도 앞바다에서 실시된 수중 발굴 결과 조선 시대 유물들이 다수 발견돼 눈길을 끈다. 국립해양연구소는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군산 선유도 해역을 발굴 조사했으며 총 220여 점의 유물을 새로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유물 중에는 청자, 분청사기, 백자 등 도자기가 190여 점이고 조선시대 화폐인 상평통보(常平通寶)와 청동 숟가락 등 금속 재질의 유물 20여 점도 포함됐다. 수출된 유물 중에는 조선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분청사기, 백자, 곰방대(담뱃대) 등은 같은 형태로 여러 점 발견됐다.

장상민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