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PG사 협조 당부"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로 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e커머스 티몬·위메프(티메프)가 ‘극적 생존’과 ‘기업 청산’이라는 두 갈림길에 섰다.

영업 재개를 통한 인수·합병(M&A)이 성사될 경우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판매대금을 받지 못한 입점업체 구제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청산 절차를 밟게 되면 채무 변제가 어려워 피해 복구 길은 막히게 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티메프의 판매대금 미정산 피해 업체는 5만5311곳, 미정산 금액은 1조3431억 원으로 집계됐다. 티메프는 지난 7월 자금난으로 입점업체에 판매대금을 제때 지급하지 못해 회생 절차에 돌입했다.

조인철 티메프 운영 총괄 법정관리인은 전날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에서 영업 재개 설명회를 열고 "M&A를 통한 매각이 티메프의 유일한 회생 수단"이라며 "지난달 티메프 영업 재개 준비가 완료됐다"고 말했다.

현재 티메프에는 200여 명의 직원들이 근무하면서 영업 재개 준비를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조 관리인은 △결제대행(PG)사가 판매자에 판매대금 직접 정산 △정산 기간 70일에서 10일로 단축 △업계 최저 수준 수수료율 △타임 세일을 통한 판매 극대화 등을 티메프의 새로운 영업 전략으로 소개했다.

그러면서 "매각주관사인 한영회계법인이 일종의 투자제안서를 e커머스 업종을 영위하거나 연관 산업 및 사모펀드 등 약 50여 개에 전달했다"며 "두 곳에서 인수에 관심을 표명해 논의를 이어 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건은 결제 승인 등을 담당할 PG사·카드사들이 티메프와 거래에 다시 참여하느냐에 달려 있다. 티메프에 다시 자금이 유입되려면 판매업체뿐만 아니라 PG사·카드사들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티메프 매각 주관사인 EY한영회계법인은 오는 13일 서울회생법원에 티메프 조사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보고서에는 판매자 피해 보상을 위해 M&A를 통한 기업 존속의 필요성이 강조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김호준 기자
김호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