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준석 "尹 부정선거 의혹에 미쳐…검사때 ‘선관위 털려했다’고"
국회사무처‘비상계엄 사태’ 주동자로 지목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계엄 당시 선거관리위원회에도 병력을 대거 투입한 것에 대해 "부정선거 의혹 수사의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해"라고 5일 밝혔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은 부정선거 주장 세력에 물들어 있다"고 주장했다.
5일 김 전 장관은 ‘선관위에 계엄군을 보낸 이유’를 묻는 언론 질의에 "선관위 부정선거 의혹 관련 수사의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해"라고 밝혔다. 선관위 부정선거 의혹은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극우 유튜버 등이 지속적으로 의문을 제기하던 사안이다.
계엄령이 선포됐던 3일 밤, 선관위에는 총 297명의 계엄군이 투입됐다. 과천청사 120명·관악청사 47명·선거연수원 130명으로 국회에 투입된 280명보다 더 많았다. 특히 계엄군은 과천청사 내 정보관리국 통합관제센터로 진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보관리국은 각종 선거 데이터가 보관된 곳으로,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측의 수사 대상으로 지목돼 왔다.

윤 대통령이 국민의힘에 입당했을 당시 당 대표였던 이준석 의원은 이날 SNS에 "어떻게 보면 (윤 대통령) 본인이 제일 부정선거에 미친 것"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윤 대통령 자택인) 아크로비스타에서 처음 만난 날. ‘대표님. 제가 검찰에 있을 때 선관위를 싹 털려고 했는데 못하고 나왔습니다’라고 말했던 사람이 윤 대통령"이라며 "부정선거(의혹을 제기하는) 세력이 주변에 꼬여 미친 짓을 할 때마다 제가 막느라 얼마나 고생했는데 결국 이 놈들에게 물들었다"고 했다.
이 의원은 "결국 부정선거쟁이들이 2020년부터 보수 진영을 절단내고 있다"면서 "대통령이 부정선거쟁이 수괴가 돼서 환호 받아보려다가 친위 쿠데타를 일으켰다"고 주장했다.
앞서 김용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비상계엄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 참석해 계엄군이 지난 3일 비상계엄 상황 때 과천 중앙선관위에 진입한 것과 관련, "헌법적으로 과연 계엄법상 (진입이) 맞는 것인지 굉장히 의문이 있다"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이날 ‘헌법기관 수장이 계엄군 진입에 문제 제기를 안 하느냐’는 야당 의원의 지적에 "이 부분을 엄정히 보고 있고 (대응) 검토가 거의 다 끝났다"며 이같이 답했다.
김 사무총장은 "계엄군이 왜 선관위에 진입했는지는 그 이유를 정확히 모르겠다. 선관위는 계엄법 대상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계엄이 이뤄진다고 해서 (선관위) 업무를 (계엄사에) 이관해야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계엄 당시 선관위에서 반출된 물품이 있는지에 대해선 "없다"며 전산·로그 기록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계엄군이 명태균 씨 관련 여론조사 데이터 확보를 위해 선관위에 진입한 것 아니냐는 야당 의원의 주장에는 "명태균 관련 ‘로데이터’ 등의 자료는 전혀 없다"며 "여론조사심의위원회도 과천이 아닌 사당 청사에 있다"고 답했다. 계엄군이 선거 정보 서버 관리를 하는 정보관리국에 진입했는지에 대해선 "정보관리국 컴퓨터에 대한 부분은 다시 한번 점검해보겠다"고 밝혔다.
김 사무총장은 또 "10여명의 계엄군이 들어와 야간 당직자 등 5명의 휴대전화를 압수하고 행동 감시 및 출입 통제를 했다"며 "추가 투입된 (계엄군) 100여명은 1층 로비 등에서 경계 작전만 실시하고 총 3시간 20여분 동안 (청사를) 점거했다"고 설명했다.
선관위에 따르면 계엄군 10여명은 비상계엄 선포 직후인 3일 오후 10시 33분 과천 청사에 처음 진입했고, 이후 추가로 110여명이 청사 주변에 배치됐다.
선관위는 과천 청사와 관악청사, 수원 선거연수원 등에 투입된 계엄군 병력을 총 300여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국회에 투입된 계엄군(280여명)보다 많은 규모다.

조국혁신당 정춘생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보는 극우 유튜브서 온갖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는데, 관련 자료를 확보하려고 했던 게 아닌지 의심된다"고 주장했는데, 실제 이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비상계엄을 주도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이날 SBS와 메신저를 통한 인터뷰에서 선관위에 계엄군을 투입한 이유를 "선관위 부정선거 의혹 관련 수사의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해"라고 밝혔다.
보수 일각에서 제기되는 ‘선관위 부정선거론’ 진위를 확인하기 위한 조치였다는 뜻이다.
계엄 상황에선 계엄사 산하 합동수사본부가 주요 사건 수사를 맡게 된다. 계엄이 계속 진행됐더라면 합동수사본부장을 맡았을 여인형(중장) 방첩사령관은 윤석열 대통령, 김 전 장관과 같은 충암고 출신이다.
박세영 기자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