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영국 런던에서 발행된 파이낸셜타임스(FT)와 가디언, 더타임스, 텔레그래프 등 영국 유력지 지면에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실을 전한 기사들이 실려 있다. 이들은 모두 1면에서 비상계엄 관련 소식을 전했고, 일부 매체는 배경 분석 등 관련 보도에 여러 면을 할애했다. 연합뉴스
4일 영국 런던에서 발행된 파이낸셜타임스(FT)와 가디언, 더타임스, 텔레그래프 등 영국 유력지 지면에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실을 전한 기사들이 실려 있다. 이들은 모두 1면에서 비상계엄 관련 소식을 전했고, 일부 매체는 배경 분석 등 관련 보도에 여러 면을 할애했다. 연합뉴스


■ 사설 통해 일제히 비판

BBC “尹, 의회·국민 심판받을것”
WP “어두운 시대로 되돌리려해”


워싱턴=민병기 특파원 mingming@munhwa.com

세계 주요 언론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윤 대통령의 탄핵안 발의 사실을 신속하게 보도하는 동시에 사설을 통해 윤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했다. 2차 세계대전 후 경제발전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이룬 모범 사례인 한국의 위상을 무너뜨린 행태라는 지적이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4일(현지시간) 사설에서 “윤 대통령은 한국의 국제적 위상과 힘들게 이룬 민주주의의 진전을 위험에 빠트린 것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며 “국회는 정당하게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을 제출했고 주 후반에 투표가 실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영국 방송 BBC는 “한국은 안정적인 민주주의 국가이지만 소란스러운 나라”라며 “국민이 1980년대 이래 민주주의에 대한 가장 심각한 도전을 거부한 후 윤 대통령은 이제 의회와 국민의 심판을 받게 됐다”고 전했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사설에서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는 시계를 이전의 어두운 시대로 되돌리려는 시도였다”며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진정한 위협은 윤 대통령의 요란하고 위헌적일 가능성이 큰 (민주주의) 전복 시도였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의 명분으로 거론한 여러 ‘위협’보다 윤 대통령의 판단이 더 큰 문제라는 지적이다. 사설은 또 “입법부가 과도하게 행동하는 것에 대해 리더들이 종종 타당한 불만을 제기할 수 있다”면서도 “그에 대한 답은 헌법 질서를 강탈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 선거에서 승리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라고 썼다. 뉴욕타임스(NYT)는 “계엄령을 시행하려는 윤 대통령의 과감한 수(手)가 한국을 위기에 빠트린 후, 야당 의원들이 윤 대통령 탄핵안을 제출하고 시위대가 그의 사임을 요구하면서 윤 대통령의 정치적 운명은 불확실해졌다”고 보도했다.

일본 언론들도 5일 일제히 비상계엄 사태를 비판했다. 산케이(産經)신문은 사설에서 “이번 계엄령은 자유와 민주주의에 반하는 것으로, 발령해서는 안 되는 것”이라며 “선진국의 일원으로 여겨지던 한국의 계엄령 소동은 국가 이미지 실추를 불러올 수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윤 대통령은 민주주의 국가의 위정자로서 실격이라는 낙인이 찍혀도 어쩔 수 없다”며 “구심력을 잃은 윤 대통령이 사태 수습을 위해 진퇴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사히(朝日)신문도 사설에서 “민주 국가에서 있어서는 안 될 사태가 한국에서 일어났다”며 “윤 대통령은 북한과 긴장이 지속되는 한반도 정세에도 악영향을 끼칠 어리석은 행동을 했다고 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민병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