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尹, 여론반전 시도 ‘주목’
당초 대국민담화 나서려던 尹
여론역풍 우려에 사흘째 침묵
韓 입장선회에 여론전환 절실
반국가세력 실체 등 밝힐수도
윤석열 대통령은 비상계엄 해제 이후 사흘째인 6일에도 침묵을 이어가고 있다. 대통령실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이날 오전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 처리돼야 한다는 뜻을 시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입장을 내지 않았다. 정치권에서는 탄핵소추안 표결에 앞서 금명간 윤 대통령이 전격적인 여론 반전 카드를 꺼내 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일 오전 4시 27분 비상계엄 선포 해제 발표 이후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계엄 사태나 한 대표의 발언에 대한 대통령실의 공식 입장도 없는 상태다. 대통령실 참모들은 외부 접촉을 극도로 피하며 국회 탄핵안 표결 결과만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비상계엄 해제 이후 윤 대통령의 알려진 행적은 4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국민의힘 한 대표 등 당정 고위급 인사를 만난 게 유일하다. 여권에서는 윤 대통령이 탄핵안 표결을 앞두고 대국민 담화를 할 것이라는 얘기들이 돌았지만, 이날까지 대국민담화를 하지 않고 있다.
윤 대통령은 당초 직접 대국민 담화에 나서 국민 불안을 초래한 데 대해 사과하고, 계엄선포의 배경을 설명하려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국회 탄핵안 표결 전에 성급한 발언을 했다가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이를 보류하는 쪽으로 결정했다고 한다.
이날 한 대표의 ‘탄핵안 가결 처리’ 발언이 나온 만큼, 윤 대통령이 금명간 전격적으로 입장 발표를 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 대표가 그간 “탄핵은 막겠다”는 입장에서 선회해 “가결 처리돼야 한다”는 뜻을 밝힌 만큼, 여론 전환을 위한 카드가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이 반국가세력의 실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부정선거 의혹 초기 조사 결과 등을 내놓지 않겠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윤 대통령이 자신의 고정 지지층이나 전통 보수층을 결집하기 위해 강한 수위의 담화를 할 가능성도 남아있다.
만약 친한(친한동훈)계의 입장 전환에도 불구하고 탄핵안이 부결될 경우, 대통령실은 그간의 침묵에서 벗어나 공세적 입장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 비상계엄 선언의 불가피성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완전히 갈라서면서 여권 분열, 나아가 분당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다만, ‘국회에 군인을 보낸 대통령’ ‘주요 정치인을 체포하려 한 의혹이 있는 대통령’등의 꼬리표 탓에, 여론 반전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탄핵이 가결되면, 윤 대통령의 직무는 즉각 정지된다. 용산 대통령실은 ‘식물 상태’에 놓이게 된다.
여권 관계자는 “결론이 어떻든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언은 정치적 자해극이라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고 했다.
손기은 기자 son@munhwa.com
관련기사
-
“尹, 국정원1차장에 직접 연락해 한동훈 체포 지시… 난색 표하자 경질 조치”
-
한동훈 “尹직무 조속 정지”… 탄핵 가능성 커졌다
-
한동훈 “윤, 대통령직 계속 수행땐 극단적 행동 재현 우려”
-
李 “尹, 입법·사법까지 3권 장악시도… 내란 범죄 수괴”
-
‘尹 탄핵안’ 표결 오늘로 앞당겨지나
-
특유의 ‘버럭’… ‘용산 성’ 에 갇혀 계엄 밀어붙인 윤석열
-
한동훈 입장선회에 친윤계 반발… “보수궤멸 앞당기려하나”
-
조국 “탄핵안 오늘 처리해야”… 野5당, 공동 기자회견
-
‘윤석열 = 내란 우두머리’ 상설특검 법사위 상정
-
노태악 선관위원장 “계엄군 선관위 점거는 위헌… 법적 조치”
-
특전사령관 “계엄 작전중 대통령 전화”… 尹 직접 관여
-
‘2차 계엄설’에 軍 “사실무근”
-
美 “尹 탄핵, 평화로운 진행 기대”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