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스 "경제 문화 강대국서 이런일이..." 스티븐스 "너무나 시대착오적인 일이다" 허버드 "잘 해결해 나갈 것으로 확신"
"충격받았고 혼란스러웠으며 기이했다."
전직 주한미국대사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에 충격을 감추지 않았다.
해리 해리스 전 대사는 7일 오전(한국시간) 워싱턴DC에 있는 한미경제연구소(KEI) 행사에서 "충격받았고 혼란스러웠으며 기이했다"면서 "자유민주주의의 모범이자 문화·경제적 강대국인데, 그런데 이런 일이 일어났다. 모두를 놀라게 했다"고 말했다. "지금의 한국은 비상계엄을 마지막으로 선포한 때(1979년 10월·1980년 5월 전국으로 확대)와 완전히 다르다"고 강조한 해리스 전 대사는 "하지만 다행히도 위기를 모면했다. 그 이유의 상당 부분은 용감한 국회의원들과 거리로 나선 한국 시민들의 주된 저항 덕분이다. 우리는 그들에게 박수를 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캐슬린 스티븐스 전 대사도 "윤 대통령 주변의 소수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사람이 완전히 놀란 것 같다. 그 이유 중 하나는 그가 계엄령을 정당화한 방식을 비롯해 이게 너무 시대착오적인 것 같기 때문"이라면서 "한국이 (국민의) 지지와 정당성을 누리는 지도자를 가지는 게 미국에 이익이다. 21세기 한국 대통령의 정당성 근거가 무엇이냐? 민주적이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또 스티븐스 대사는 "우리(미국)가 그런 점과 그런 절차를 지지한다는 사실을 분명히 밝혀야 하며 그런 것(지지와 정당성)을 갖춘 지도자가 나온다면 한미관계를 위해 좋다"고 말했다.
토머스 허버드 전 대사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행동하는 민주주의의 매우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한 뒤 "우리는 민주주의가 어떻게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지를 다시 보게 될 것 같다. 윤 대통령 탄핵안의 최종 결말을 예상할 수 없지만 한국인들이 이것(계엄령 사태)을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전적으로 확신한다"고 설명했다.